망막 가성 전방 축농
망막 가성 전방 축농 (retinal pseudohypopyon)[1] 은 가성 전방 축농의 모습이 망막에 있을 경우에 사용되며, 망막 아래에 물이 고인 낭포가 형성되고, 색이 다른 침전물이 고이거나 혼탁한 망막이 비치는 경우라고 볼 수 있다.
노른자 모양 황반 이상증의 변화 과정 중 계란 스크램블 모양 단계 이후 계란스크램블이 붕괴 혹은 액화되어 액체면을 가지는 낭포를 보이는 모습이 전방 축농과 매우 닮았다고 하여 가성 전방 축농 단계라는 이름을 붙인 것이 효시이다[2].
원인
- 노른자 모양 황반 이상증
- 급성 매독 후부 판상 맥락망막염 : 황반부에서 보이는 장액 망막 박리와 동반된 삼출성 액체 초승달 (fluid meniscus)[3]
- 맥락막 모반 : 망막하 삼출물에 오렌지색 색소들이 침착된 형태[4]
- 일측성 급성 특발 황반병증 : 황반부의 장액 망막 박리와 함께 망막외층에 회백색 혼탁을 보이는 경우[5]
내인성 아스페르길루스 안내염에서 황반부의 망막 앞에 염증세포들이 층을 이루고 있는 모습[6]을 포함시킬 수 있지만 이 경우는 침전물의 구성 성분이 염증세포라는 점에서 가성 전방 축농보다는 전방 축농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참고
- ↑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
- ↑ Kraushar MF et al. Pseudohypopyon in Best's vitelliform macular dystrophy. AJO. 1982 Jul;94(1):30-7. 연결
- ↑ Ouano DP et al. Macular pseudohypopyon from secondary syphilis. AJO. 1995 Mar;119(3):372-4. 연결
- ↑ Naseripour M et al. Pseudohypopyon of orange pigment overlying a stable choroidal nevus. AJO. 2001 Sep;132(3):416-7. 연결
- ↑ Fish RH et al. Pseudohypopyon in unilateral acute idiopathic maculopathy. Retina. 1993;13(1):26-8. 연결
- ↑ Gross JG. Endogenous Aspergillus-induced endophthalmitis. Successful treatment wo systemic antifungal medication. Retina. 1992;12(4):341-5.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