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포 망막술: 두 판 사이의 차이

크기가 바뀐 것이 없음 ,  2020년 3월 16일 (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낭포 망막술 (cystic retinal tuft) 은 유리제 기저에 발생하는 돌출 병변으로 주로 교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병변 기저부의 크기가 0.1~*0 mm로...)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낭포 망막술 (cystic retinal tuft) 은 유리제 기저에 발생하는 돌출 병변으로 주로 교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병변 기저부의 크기가 0.1~*0 mm로 비냥포 망막술보다 크다. 드물게 색소화를 동반하며, 종종 첨단부에 유리체의 응축된 다발이 유착되 어 있다. 망막 톱니둘레 돌기, 경선 주름 및 다른 병변과 같은 경선에 종종 위치한다.
낭포 망막술 (cystic retinal tuft) 은 유리제 기저에 발생하는 돌출 병변으로 주로 교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병변 기저부의 크기가 0.1~1.0 mm로 비냥포 망막술보다 크다. 드물게 색소화를 동반하며, 종종 첨단부에 유리체의 응축된 다발이 유착되 어 있다. 망막 톱니둘레 돌기, 경선 주름 및 다른 병변과 같은 경선에 종종 위치한다.
== 역학 ==
== 역학 ==
신생아에서도 선천적으로 발견되고, 시체안의 59% 에서 발견되며 39%에서 양안성이다. 모든 사­분면에서 관찰되나 78%에서 비측 이분면(특히 상비측)에서 관찰된다.
신생아에서도 선천적으로 발견되고, 시체안의 59% 에서 발견되며 39%에서 양안성이다. 모든 사­분면에서 관찰되나 78%에서 비측 이분면(특히 상비측)에서 관찰된다.
7번째 줄: 7번째 줄:
공막 누르기로 검사할 때는 이 병변은 넓은 기저부를 가지고 약간 상승되어 있으며 종종 망막판으로 오인되기도 하지만, 망막 조각과 같이 투명하지 않고 분필 같은 흰색을 보이기 때문에 쉽게 구별된다.   
공막 누르기로 검사할 때는 이 병변은 넓은 기저부를 가지고 약간 상승되어 있으며 종종 망막판으로 오인되기도 하지만, 망막 조각과 같이 투명하지 않고 분필 같은 흰색을 보이기 때문에 쉽게 구별된다.   
== 예후 ==
== 예후 ==
Byer는 망믹박리 환자의 10%기 낭포망막술과 연관된 망막열공이 원인이라고 보고하였고, 낭포 망막술이 있는 환지에서 망막박리가 발생하는 빈도를 0.28% 라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낮은 발생률을 근거로 예방적 치료가 펼요없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그 러나 임상적으로 냥포 망막술이 안저에서 빌견될 때는 주위에 동반된 망막 열공에 대한 검사가 필요하며, 망막 열공의 발견 시에는 주의 깊은 경과 관찰과 필요할 경우 예방적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Byer는 망믹박리 환자의 10%기 낭포망막술과 연관된 망막열공이 원인이라고 보고하였고, 낭포 망막술이 있는 환자에서 망막박리가 발생하는 빈도를 0.28% 라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낮은 발생률을 근거로 예방적 치료가 펼요없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임상적으로 냥포 망막술이 안저에서 빌견될 때는 주위에 동반된 망막 열공에 대한 검사가 필요하며, 망막 열공의 발견 시에는 주의 깊은 경과 관찰과 필요할 경우 예방적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