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실리콘관 탈출) |
잔글 (→적응증)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 [[선천 코눈물관 폐쇄]] : 높은 성공률을 보였다<ref>Beigi B et al. Results of Crawford tube intubation in children. ''Acta Ophthalmol (Copenh)''. 1993 Jun;71(3):405-7. [https://pubmed.ncbi.nlm.nih.gov/8362644/ 연결]</ref>. | * [[선천 코눈물관 폐쇄]] : 높은 성공률을 보였다<ref>Beigi B et al. Results of Crawford tube intubation in children. ''Acta Ophthalmol (Copenh)''. 1993 Jun;71(3):405-7. [https://pubmed.ncbi.nlm.nih.gov/8362644/ 연결]</ref>. | ||
* 외상 눈물소관 열상<ref>Liang X et al. A modified bicanalicular intubation procedure to repair canalicular lacerations using silicone tubes. ''Eye (Lond)''. 2012 Dec;26(12):1542-7. [https://pubmed.ncbi.nlm.nih.gov/23060024/ 연결]</ref> | * 외상 눈물소관 열상<ref>Liang X et al. A modified bicanalicular intubation procedure to repair canalicular lacerations using silicone tubes. ''Eye (Lond)''. 2012 Dec;26(12):1542-7. [https://pubmed.ncbi.nlm.nih.gov/23060024/ 연결]</ref> | ||
== 수술 방법 == | |||
# 수술 30분 전 1:100,000 에피네프린 용액을 적신 거즈를 하비도에 충전시켜 비점막을 수축시킨다. | |||
# #00 크기의 Bowman [[눈물길 더듬자 검사]]를 시행하여 눈물길의 저항 부위를 확인한다. | |||
# 0.64 mm 굵기의 한 개 실리콘관(canaliculus intubtion set, Beaver-Visitec, Inc., Waltham, MA, USA) 을 위쪽 눈물소관으로 삽입한다. | |||
# 비강 내시경을 이용하여 실리콘관이 아래콧길로 나온 것을 확인하고 집게 (alligator forceps) 로 비강 밖으로 견인한다. | |||
# 같은 방법으로 아래쪽 눈물소관으로도 실리콘관을 삽입한다. | |||
# 실리콘관을 잡아당긴 다음 6-0 nylon을 이용하여 두 개의 실리콘관을 결찰한 후 2 mm 여분을 남기고 잘라낸다. | |||
== 실리콘관의 종류 == | == 실리콘관의 종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