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관 삽입술: 두 판 사이의 차이

4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7월 19일 (화)
잔글
28번째 줄: 28번째 줄:
실리콘관 탈출, 눈물점 미란, 육아종 형성, 각막 미란 등이 발생할 수 있다<ref name=r9 />.
실리콘관 탈출, 눈물점 미란, 육아종 형성, 각막 미란 등이 발생할 수 있다<ref name=r9 />.
=== 실리콘관 탈출 ===
=== 실리콘관 탈출 ===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합병증이며,  Brookes 등<ref>Brookes JL et al. Endoscopic endonasal management of prolapsed silicone tubes after DCR. ''Ophthalmology''. 1999 Nov;106(11):2101-5. [https://pubmed.ncbi.nlm.nih.gov/10571344/ 연결]</ref>이 여러 연구들을 종합한 바에 따르면 STI 후에는 약 17.5%, [[눈물주머니-코안 연결술]] 후에는 약 14%의 실리콘관 탈출이 발생할 정도로 흔하다고 하였다. 또한 탈출이 발생하면 미용상으로 좋지 않을 뿐 아니라 각막과 결막의 이물감, 결막염 그리고 각막 미란을 야기한다.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합병증이며,  Brookes 등<ref>Brookes JL et al. Endoscopic endonasal management of prolapsed silicone tubes after DCR. ''Ophthalmology''. 1999 Nov;106(11):2101-5. [https://pubmed.ncbi.nlm.nih.gov/10571344/ 연결]</ref>이 여러 연구들을 종합한 바에 따르면 STI 후에는 약 17.5%, [[눈물주머니-코안 연결술|DCR]] 후에는 약 14%의 실리콘관 탈출이 발생할 정도로 흔하다고 하였다. 또한 탈출이 발생하면 미용상으로 좋지 않을 뿐 아니라 각막과 결막의 이물감, 결막염 그리고 각막 미란을 야기한다.
14  
14  


예방하기 위해 실리콘 스펀지를 작게 잘라 실리콘관을 스펀지에 통과시켜 묶어주거나<ref>이태수 등, 실리콘관의 돌출 및 누소관 열창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한 변형된 관 삽입술, ''JKOS'' c 2009;50(7):984-988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7444 연결]</ref>, 실리콘관 끝을 두 번 묶어주기도 한다<ref>Lekskul A et al. Simple technique for silicone intubation in congenital NLDO. ''J Med Assoc Thai''. 2004 Sep;87(9):1082-6. [https://pubmed.ncbi.nlm.nih.gov/15516010/ 연결]</ref>. 하지만 이런 방법들은 코 안쪽에 덩어리를 형성하여 탈출을 예방하는 방법으로 이로 인한 이물감, 코막힘 등의 불편감이 발생한다. 박 등<ref>박민수 등, 성인 눈물길 실리콘관 삽입술에서 비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한 실리콘관의 코벽 고정 효과, ''JKOS'' 2022;63(7):578-583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3635 연결]</ref>은 실리콘관의 조기 탈출을 예방하고, 삽입 기간 동안 코 속의 불편감을 줄일 수 있도록 비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해 실리콘관 끝을 코벽에 고정시키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예방하기 위해 실리콘 스펀지를 작게 잘라 실리콘관을 스펀지에 통과시켜 묶어주거나<ref>이태수 등, 실리콘관의 돌출 및 누소관 열창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한 변형된 관 삽입술, ''JKOS'' c 2009;50(7):984-988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7444 연결]</ref>, 실리콘관 끝을 두 번 묶어주기도 한다<ref>Lekskul A et al. Simple technique for silicone intubation in congenital NLDO. ''J Med Assoc Thai''. 2004 Sep;87(9):1082-6. [https://pubmed.ncbi.nlm.nih.gov/15516010/ 연결]</ref>. 하지만 이런 방법들은 코 안쪽에 덩어리를 형성하여 탈출을 예방하는 방법으로 이로 인한 이물감, 코막힘 등의 불편감이 발생한다. 박 등<ref>박민수 등, 성인 눈물길 실리콘관 삽입술에서 비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한 실리콘관의 코벽 고정 효과, ''JKOS'' 2022;63(7):578-583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3635 연결]</ref>은 실리콘관의 조기 탈출을 예방하고, 삽입 기간 동안 코 속의 불편감을 줄일 수 있도록 비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해 실리콘관 끝을 코벽에 고정시키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