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신경 유두 드루젠: 두 판 사이의 차이

4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3월 16일 (월)
잔글
(새 문서: 시신경 유두 드루젠 (optic disc drusen; ODD) == 발생 기전 == 시신경관 또는 시신경 유두와 혈관의 형성 이상으로 인해 사상판이 좁아지고, 그...)
 
8번째 줄: 8번째 줄:
* 유두 안에 묻혀 있는 드루젠 : 시신경 유두 모양을 보고 짐작할 뿐이다. 정확히 진단하려면 초음파 검사나 OCT, CT 등을 시행해야 한다.
* 유두 안에 묻혀 있는 드루젠 : 시신경 유두 모양을 보고 짐작할 뿐이다. 정확히 진단하려면 초음파 검사나 OCT, CT 등을 시행해야 한다.
== 관련 질환 ==
== 관련 질환 ==
대개 전신 질환이나 안과 질환 혹은 신경과 질환과 연관이 없다. 그러나 가끔 [[망막 색소변성]], 탄력섬유 거짓황색종, [[혈관줄무늬 망막병증]]에 드루젠이 동반된다. [[망막 색소변성]]에 동반된 유두 드루젠은 유두 크기가 정상적이며 유두가 융기되어 있지 않고 유두 경계 부근에서 연노란색 드루젠이 보인다.
대개 전신 질환이나 안과 질환 혹은 신경과 질환과 연관이 없다. 그러나 가끔 [[망막 색소 변성]], 탄력섬유 거짓황색종, [[혈관 줄무늬 망막병증]]에 드루젠이 동반된다. [[망막 색소 변성]]에 동반된 유두 드루젠은 유두 크기가 정상적이며 유두가 융기되어 있지 않고 유두 경계 부근에서 연노란색 드루젠이 보인다.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일생 동안 별다른 시각 증상 없이 지내지만 가끔 시력이 갑자기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많게는 75% 정도에서 다양한 형태의 주변 시야 결손이 나타난다. 대부분 시신경 섬유가 서서히 위축되면서 오랜 시간에 걸쳐 시야 결손이 발생하므로 환자는 증상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나, 갑자기 시야 장애가 나타날 수도 있다. 시야 결손은 [[시신경 유두]] 속에 묻혀 있는 드루젠보다 표면 드루젠에서 주로 발생하며, 표면 드루젠의 위치와 시야 결손의 위치는 상관 관계가 없다고 알려져 있다.<br />중심 시력 상실은 매우 드물지만, 일시적이고 단계적으로 주변 시야가 감소한 뒤 갑자기 시력이 상실되는 경우도 있다. 유두 앞 또는 주위에서 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나 대부분 예후가 좋으며 가끔 성인에서 공막관의 크기가 작아 혈관이 밀집되어 망막 혈관 폐쇄가 발생할 수도 있다. 8.6% 정도에서 시신경 유두의 비정상적 융기로 인해 안구내 혈류 장애가 일어나 일시적으로 시력이 감소할 수도 있다. 성인보다 어린이에서 유두 주위 망막하 신생혈관이 드물게 발생하여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시력이 감소하기도 한다.
일생 동안 별다른 시각 증상 없이 지내지만 가끔 시력이 갑자기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많게는 75% 정도에서 다양한 형태의 주변 시야 결손이 나타난다. 대부분 시신경 섬유가 서서히 위축되면서 오랜 시간에 걸쳐 시야 결손이 발생하므로 환자는 증상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나, 갑자기 시야 장애가 나타날 수도 있다. 시야 결손은 [[시신경 유두]] 속에 묻혀 있는 드루젠보다 표면 드루젠에서 주로 발생하며, 표면 드루젠의 위치와 시야 결손의 위치는 상관 관계가 없다고 알려져 있다.<br />중심 시력 상실은 매우 드물지만, 일시적이고 단계적으로 주변 시야가 감소한 뒤 갑자기 시력이 상실되는 경우도 있다. 유두 앞 또는 주위에서 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나 대부분 예후가 좋으며 가끔 성인에서 공막관의 크기가 작아 혈관이 밀집되어 망막 혈관 폐쇄가 발생할 수도 있다. 8.6% 정도에서 시신경 유두의 비정상적 융기로 인해 안구내 혈류 장애가 일어나 일시적으로 시력이 감소할 수도 있다. 성인보다 어린이에서 유두 주위 망막하 신생혈관이 드물게 발생하여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시력이 감소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