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염색체 관련 망막 층간분리: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
17번째 줄: 17번째 줄:
* 색각 검사 : Hardy-Rand-Rittler 가성동색표 검사에서 경증 적녹색
* 색각 검사 : Hardy-Rand-Rittler 가성동색표 검사에서 경증 적녹색
== 감별 진단 ==
== 감별 진단 ==
황반부의 층간분리 소견이 나타날 수 있는 다른 질환들로는 15q23에 위치한 유전자의 변이에 의한 [[골드만-파브레 병]], enhanced S-Cone syndrome 등이 있으며 이 질환들에서는 시기능이 심하게 저하되어 있고 망막전위도 에서 cone의 반응이 감소하는 점 등으로 감별할수 있다.18
황반부의 층간분리 소견이 나타날 수 있는 다른 질환들로는 15q23에 위치한 유전자의 변이에 의한 [[골드만-파브레 병]], enhanced S-Cone syndrome 등이 있으며 이 질환들에서는 시기능이 심하게 저하되어 있고 망막전위도 에서 cone의 반응이 감소하는 점 등으로 감별할수 있다<ref>Sharon D et al. Shared mutations in NR2E3 in enhanced S-cone syndrome, Goldmann-Favre syndrome, and many cases of clumped pigmentary retinal degeneration. ''Arch Ophthalmol''. 2003 Sep;121(9):1316-23. [https://pubmed.ncbi.nlm.nih.gov/12963616/ 연결]</ref>.


주변부 망막 층간분리의 경우 열공 망막박리와 감별이 필요하다. LXR의 경우 매우 얇고 투명한 층간분리된 망막의 내층이 눈의 위치 변화에 따라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이상 소견이 양안성으로 나타난다. 퇴행성 망막 층간분리는 주로 외망막에서 발생하고 노인에서 발견되며 단안에서 나타난다.
주변부 망막 층간분리의 경우 열공 망막박리와 감별이 필요하다. LXR의 경우 매우 얇고 투명한 층간분리된 망막의 내층이 눈의 위치 변화에 따라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이상 소견이 양안성으로 나타난다. 퇴행성 망막 층간분리는 주로 외망막에서 발생하고 노인에서 발견되며 단안에서 나타난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