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동제: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51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8월 25일 (목)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축동제 (miotics) 는 아세틸콜린의 콜린성 효과와 흡사한 효과를 가지는 약제로서, 부교감 신경 흥분제 (parasympathomimetics), 콜린 작동제 (choline...)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축동제 (miotics) 는 아세틸콜린의 콜린성 효과와 흡사한 효과를 가지는 약제로서, 부교감 신경 흥분제 (parasympathomimetics), 콜린 작동제 (cholinergic stimulators) 등으로도 부르며 1870년대 녹내장 치료에 처음으로 사용되었던 약제이다. 새로운 다른 계열의 약제들이 개발되어 현재는 많이 사용하지 않지만 저렴한 비용으로 아직 [[개방각 녹내장]]에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상대적 동공 차단]]의 해소, [[선천 녹내장]]의 앞방각 수술 후와 같은 특별한 경우에는 아직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축동제 (miotics)'''{{녹내장}} 는 아세틸콜린의 콜린성 효과와 흡사한 효과를 가지는 약제로서, 부교감 신경 흥분제 (parasympathomimetics), 콜린 작동제 (cholinergic stimulators) 등으로도 부르며 1870년대 녹내장 치료에 처음으로 사용되었던 약제이다. 새로운 다른 계열의 약제들이 개발되어 현재는 많이 사용하지 않지만 저렴한 비용으로 아직 [[개방각 녹내장]]에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상대적 동공 차단]]의 해소, [[선천 녹내장]]의 앞방각 수술 후와 같은 특별한 경우에는 아직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 병태 생리 ==
== 병태 생리 ==
무스카린성 콜린 수용체를 자극하여 작용을 나타내는데 인체의 섬모근 세포와 홍채조임근에는 m3 무스카린 수용체가 주로 존재한다. 섬모체 근육을 수축시킴으로써 공막돌기를 당겨 섬유주와 쉴렘관의 형태를 변화시켜 섬유주를 통한 방수 유출을 증가시킴으로써 안압을 낮추게 된다. 이러한 기전은 섬모체근을 공막 돌기에서 분리시켰을 경우 pilocarpine의 안압 하강 효과가 상실됨으로써 증명된다.
무스카린성 콜린 수용체를 자극하여 작용을 나타내는데 인체의 섬모근 세포와 홍채조임근에는 m3 무스카린 수용체가 주로 존재한다. 섬모체 근육을 수축시킴으로써 공막돌기를 당겨 섬유주와 쉴렘관의 형태를 변화시켜 섬유주를 통한 방수 유출을 증가시킴으로써 안압을 낮추게 된다. 이러한 기전은 섬모체근을 공막 돌기에서 분리시켰을 경우 pilocarpine의 안압 하강 효과가 상실됨으로써 증명된다.
11번째 줄: 11번째 줄:
== 적응증 ==
== 적응증 ==
방수 유출로의 기능이 건전한 모든 종류의 개방각 녹내장에 사용할 수 있다.
방수 유출로의 기능이 건전한 모든 종류의 개방각 녹내장에 사용할 수 있다.
{{참고}}
[[녹내장_약제}}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