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필로카르핀 (pilocarpine)'''{{녹내장}} 등 부교감계 약물은 점안시 통증이 심하고 전신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어 요즈음 사용이 많이 줄었다. | '''필로카르핀 (pilocarpine)'''{{녹내장}} 등 부교감계 약물은 점안시 통증이 심하고 전신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어 요즈음 사용이 많이 줄었다. | ||
== 병태 생리 == | == 병태 생리 == | ||
섬유주를 통한 방수 유출을 증가시키지만 포도막-공막 유출을 감소시킨다. 섬유주 유출이 감소되어 포도막-공막을 통해 방수가 주로 유출되고 있는 환자의 경우 필로카르핀을 사용하면 오히려 안압이 증가하는 경우도 있다. 방수 생성이나 상공막 정맥압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 섬유주를 통한 방수 유출을 증가시키지만 포도막-공막 유출을 감소시킨다. 섬유주 유출이 감소되어 포도막-공막을 통해 방수가 주로 유출되고 있는 환자의 경우 필로카르핀을 사용하면 오히려 안압이 증가하는 경우도 있다<ref>Bleiman BS et al. Paradoxical IOP response to pilocarpine. A proposed mechanism and treatment. ''Arch Ophthalmol''. 1979 Jul;97(7):1305-6. [https://pubmed.ncbi.nlm.nih.gov/454268/ 연결]</ref>. 방수 생성이나 상공막 정맥압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 ||
또한 홍채조임근의 무스카린 수용체를 자극하여 축동을 일으킨다. 따라서 홍채를 팽팽하게 조여 주변부 홍채를 섬유주로부터 당겨서 앞방각을 여는 효과가 있으므로 상대 동공차단에 의한 폐쇄각 녹내장에서 단기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앞방각이 좁은 경우 수정체 앞방이동에 의해 동공 차단을 악화시키는 경우도 있다. | 또한 홍채조임근의 무스카린 수용체를 자극하여 축동을 일으킨다. 따라서 홍채를 팽팽하게 조여 주변부 홍채를 섬유주로부터 당겨서 앞방각을 여는 효과가 있으므로 상대 동공차단에 의한 폐쇄각 녹내장에서 단기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앞방각이 좁은 경우 수정체 앞방이동에 의해 동공 차단을 악화시키는 경우도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