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로카르핀: 두 판 사이의 차이

21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8월 25일 (목)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26번째 줄: 26번째 줄:
축동에 의해 시야장애도 유발하며 백내장이 있는 경우 더 심하게 나타난다. 축동제에 의해 망막 박리도 유발될 수 있으므로 망막 박리의 위험요인 여부를 살펴보고 주변부 안저 검사를 하는 것이 좋다. 각막 혼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임상적으로 유의할 정도는 아니지만 앞방 내에서 혈청 단백의 혈액방수장벽 투과를 증가시키며 술후 염증 반응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포도막염이나 앞방 조직의 신생 혈관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이 제한된다. 장기간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홍채후 유착을 방지하고 시신경 검사나 시야 검사를 정밀하게 시행하기 위해 일년에 2회 이상 동공을 산동하는 것이 좋다.
축동에 의해 시야장애도 유발하며 백내장이 있는 경우 더 심하게 나타난다. 축동제에 의해 망막 박리도 유발될 수 있으므로 망막 박리의 위험요인 여부를 살펴보고 주변부 안저 검사를 하는 것이 좋다. 각막 혼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임상적으로 유의할 정도는 아니지만 앞방 내에서 혈청 단백의 혈액방수장벽 투과를 증가시키며 술후 염증 반응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포도막염이나 앞방 조직의 신생 혈관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이 제한된다. 장기간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홍채후 유착을 방지하고 시신경 검사나 시야 검사를 정밀하게 시행하기 위해 일년에 2회 이상 동공을 산동하는 것이 좋다.
{{참고}}
{{참고}}
{{녹내장_안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