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약물간 상호 작용) |
||
18번째 줄: | 18번째 줄: | ||
각막을 잘 통과하며 대부분 각막에서 분해되어 소실되고 3% 이하만 앞방으로 들어가게된다. 필로카르핀은 홍채와 섬모체의 멜라닌과 결합하므로 홍채색이 짙을수록 높은 농도로 사용한다. 4% 농도까지는 농도의 증가에 비례해서 안압 하강 효과가 나타나며, 하루 4회 사용하지만 누낭을 잘 압박하면 2% 필로카르핀을 하루 2회 점안해도 유사한 효과를 나타낸다. | 각막을 잘 통과하며 대부분 각막에서 분해되어 소실되고 3% 이하만 앞방으로 들어가게된다. 필로카르핀은 홍채와 섬모체의 멜라닌과 결합하므로 홍채색이 짙을수록 높은 농도로 사용한다. 4% 농도까지는 농도의 증가에 비례해서 안압 하강 효과가 나타나며, 하루 4회 사용하지만 누낭을 잘 압박하면 2% 필로카르핀을 하루 2회 점안해도 유사한 효과를 나타낸다. | ||
== 약물간 상호 작용 == | == 약물간 상호 작용 == | ||
방수 생성을 억제하는 대부분의 약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포도막-공막 유출]]을 감소시킴에도 불구하고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와 함께 사용하면 추가적인 안압 하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 |||
== 부작용 == | == 부작용 == | ||
무스카린성 제제에 의한 전신적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땀, 타액, 눈물, 기관지 분비물의 증가가 나타나며, 평활근을 수축시켜 오심, 구토, 설사, 기관지 경련, 복통과 비뇨생식기계의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외에 방실 차단과 같은 심기능 장애와 인지 기능 장애가 올 수 있다. 전신적 필로카르핀에 대한 해독제로는 아트로핀을 사용한다. | 무스카린성 제제에 의한 전신적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땀, 타액, 눈물, 기관지 분비물의 증가가 나타나며, 평활근을 수축시켜 오심, 구토, 설사, 기관지 경련, 복통과 비뇨생식기계의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외에 방실 차단과 같은 심기능 장애와 인지 기능 장애가 올 수 있다. 전신적 필로카르핀에 대한 해독제로는 아트로핀을 사용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