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부작용) |
잔글 (→부작용) |
||
27번째 줄: | 27번째 줄: | ||
축동에 의해 시야 장애도 유발하며 백내장이 있는 경우 더 심하게 나타난다<ref>Webster AR et al. The effect of pilocarpine on the glaucomatous VF. ''BJO''. 1993 Nov;77(11):721-5. [https://pubmed.ncbi.nlm.nih.gov/8280687/ 연결]</ref>. 축동제에 의해 망막 박리도 유발될 수 있으므로<ref>Pape LG et al. RD and miotic therapy. ''AJO''. 1978 Apr;85(4):558-66. [https://pubmed.ncbi.nlm.nih.gov/655234/ 연결]</ref> 망막 박리의 위험요인 여부를 살펴보고 주변부 안저 검사를 하는 것이 좋다. 각막 혼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임상적으로 유의할 정도는 아니지만 앞방 내에서 혈청 단백의 [[혈액-방수 장벽]] 투과를 증가시키며<ref>Mori M et al. Effects of pilocarpine and tropicamide on BAB permeability in man. ''IOVS''. 1992 Feb;33(2):416-23. [https://pubmed.ncbi.nlm.nih.gov/1740374/ 연결]</ref> 술후 염증 반응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포도막염이나 앞방 조직의 신생 혈관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이 제한된다. 장기간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홍채후 유착을 방지하고 시신경 검사나 시야 검사를 정밀하게 시행하기 위해 일년에 2회 이상 동공을 산동하는 것이 좋다. | 축동에 의해 시야 장애도 유발하며 백내장이 있는 경우 더 심하게 나타난다<ref>Webster AR et al. The effect of pilocarpine on the glaucomatous VF. ''BJO''. 1993 Nov;77(11):721-5. [https://pubmed.ncbi.nlm.nih.gov/8280687/ 연결]</ref>. 축동제에 의해 망막 박리도 유발될 수 있으므로<ref>Pape LG et al. RD and miotic therapy. ''AJO''. 1978 Apr;85(4):558-66. [https://pubmed.ncbi.nlm.nih.gov/655234/ 연결]</ref> 망막 박리의 위험요인 여부를 살펴보고 주변부 안저 검사를 하는 것이 좋다. 각막 혼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임상적으로 유의할 정도는 아니지만 앞방 내에서 혈청 단백의 [[혈액-방수 장벽]] 투과를 증가시키며<ref>Mori M et al. Effects of pilocarpine and tropicamide on BAB permeability in man. ''IOVS''. 1992 Feb;33(2):416-23. [https://pubmed.ncbi.nlm.nih.gov/1740374/ 연결]</ref> 술후 염증 반응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포도막염이나 앞방 조직의 신생 혈관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이 제한된다. 장기간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홍채후 유착을 방지하고 시신경 검사나 시야 검사를 정밀하게 시행하기 위해 일년에 2회 이상 동공을 산동하는 것이 좋다. | ||
과민 반응이나 독성 반응도 유발할 수 있는데, 알레르기 반응은 주로 눈꺼풀이나 결막에 생기는데 흔히 윗눈꺼풀판 결막에 거대 유두성 반응을 유발하며, 이와 대조적으로 독성 반응은 결막에 여포성 반응을 유발한다<ref>Jackson WB. Differentiating conjunctivitis of diverse origins. ''Surv Ophthalmol''. 1993 Jul-Aug;38 Suppl:91-104. [https://pubmed.ncbi.nlm.nih.gov/8236006 | 과민 반응이나 독성 반응도 유발할 수 있는데, 알레르기 반응은 주로 눈꺼풀이나 결막에 생기는데 흔히 윗눈꺼풀판 결막에 거대 유두성 반응을 유발하며, 이와 대조적으로 독성 반응은 결막에 여포성 반응을 유발한다<ref>Jackson WB. Differentiating conjunctivitis of diverse origins. ''Surv Ophthalmol''. 1993 Jul-Aug;38 Suppl:91-104. [https://pubmed.ncbi.nlm.nih.gov/8236006/ 연결]</ref>. | ||
{{참고}} | {{참고}} | ||
{{녹내장_안약}} | {{녹내장_안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