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리 수직 편위: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 바이트 제거됨 ,  2020년 3월 11일 (수)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해리 수직 편위 (dissociated vertical deviation; DVD) 는 비주시안에서 간헐적으로 나타나는 눈의 상전, 외회선, 외편위 등으로 구성된 눈운동 이상...)
 
잔글편집 요약 없음
5번째 줄: 5번째 줄:
수평 사시의 수술 교정과는 관련이 없다. 드물게 조절 내사시, 외사시, 감각 사시, 백내장 수술 후, 장기간의 가림 치료, 약시, 원시, 수직 사시 등과 연관되어서도 나타난다.
수평 사시의 수술 교정과는 관련이 없다. 드물게 조절 내사시, 외사시, 감각 사시, 백내장 수술 후, 장기간의 가림 치료, 약시, 원시, 수직 사시 등과 연관되어서도 나타난다.
== 분류 ==
== 분류 ==
- 일치 해리 수직 편위 : 주시 방향이 달라져도 사시각이 일정하다.
* 일치 해리 수직 편위 : 주시 방향이 달라져도 사시각이 일정하다.
* 불일치 해리 수직 편위 : 주시 방향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 불일치 해리 수직 편위 : 주시 방향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 증상 ==
== 증상 ==
13번째 줄: 13번째 줄:
== 감별 진단 ==
== 감별 진단 ==
* [[하사근 기능 항진]]
* [[하사근 기능 항진]]
* 해리 수직 편위에서는 가려진 눈이 내전뿐 아니라 제일 눈위치, 외전된 위치에서도 상전하지만 하사근 기능 항진에서는 내전시에만 상전하고 같은쪾 상직근의 수축이 동반되어 있지 않는 한 외전시에는 상전하지 않는다. 또 하사근 기능 항진에서는 V형 내사시와 연관되는 경우가 흔하다. 해리 수직 편위에서 내전된 눈이 상전하는 이유는 내전된 눈이 코에 가려져 융합이 깨지기 때문이다.
:- 해리 수직 편위에서는 가려진 눈이 내전뿐 아니라 제일 눈위치, 외전된 위치에서도 상전하지만 하사근 기능 항진에서는 내전시에만 상전하고 같은쪾 상직근의 수축이 동반되어 있지 않는 한 외전시에는 상전하지 않는다. 또 하사근 기능 항진에서는 V형 내사시와 연관되는 경우가 흔하다. 해리 수직 편위에서 내전된 눈이 상전하는 이유는 내전된 눈이 코에 가려져 융합이 깨지기 때문이다.
* 해리 수직 편위는 [[하사근 기능 항진]]이 없거나 오히려 하사근 기능 저하, 상사근 기능 항진이 있는 경우에도 발생한다.
:- 해리 수직 편위는 [[하사근 기능 항진]]이 없거나 오히려 하사근 기능 저하, 상사근 기능 항진이 있는 경우에도 발생한다.
* 하사근 기능 항진이 있는 눈으로 하사근 작용 방향으로 주시하면 동향근인 반대쪽 상직근 기능 저하가 있다. 하지만 해리 수직 편위에서 같은 방법으로 검사하면 반대쪽 동향근 기능 저하는 없다.
:- 하사근 기능 항진이 있는 눈으로 하사근 작용 방향으로 주시하면 동향근인 반대쪽 상직근 기능 저하가 있다. 하지만 해리 수직 편위에서 같은 방법으로 검사하면 반대쪽 동향근 기능 저하는 없다.
* 재주시 속도는 하사근 기능 항진(200/400˚/초)이 해리 수직 편위(10~200˚/초)보다 빠르다.
:- 재주시 속도는 하사근 기능 항진(200/400˚/초)이 해리 수직 편위(10~200˚/초)보다 빠르다.
* 해리 수직 편위의 특징인 내회선은 하사근 기능 항진이 동반된 경우에는 쉽게 관찰되지 않는다. 내회선이 너무 빠르게 일어나 관찰의 한계를 벗어나기 때문이다.<p>2. 비대칭 수직 사위<p>3. 일치 또는 마비 회선 수직 이상의 동반
:- 해리 수직 편위의 특징인 내회선은 하사근 기능 항진이 동반된 경우에는 쉽게 관찰되지 않는다. 내회선이 너무 빠르게 일어나 관찰의 한계를 벗어나기 때문이다.
* 비대칭 수직 사위
* 일치 또는 마비 회선 수직 이상의 동반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