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역학) |
잔글 (→수술)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 눈부심 : 눈부심과 외사시와의 관련에 대해서는 아직 만족할만한 설명은 없지만 야외에서 무한대에 가까운 먼 거리를 주시할 때 눈모음을 유발시킬만한 근거리 단서가 없고, 밝은 햇빛이 망막을 자극하여 융합이 방해되어 현성 외사시가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 설명에 의하면 한 눈을 감는 것은 복시와 시각 혼란을 피하기 위한 것이며, <span style='color:blue;'>이상 망막 대응인 경우 정상 망막 대응에 비해 눈부심이 적다</span>고 발표한 연구가 이를 뒷받침한다.<br />그러나 밝은 햇빛 아래서 습관적으로 한 눈을 감는 것이 간헐 외사시에 국한된 소견이라는 것과 한 눈을 감는 것이 복시 때문이라는 것은 잘못된 개념이다. Wiggins와 von Noorden에 의하면 눈부심이 특징적으로 간헐 외사시에서 두드러진 것은 사실이나 불변 외사시나 내사시, 심지어 정상인에서도 관찰된다고 보고하였다. 한 눈을 감기 전에 복시를 느낀 경우는 한 예에서도 없었지만 공통된 점은 강한 인공 조명에 노출시킨 후 측정한 두눈 눈부심의 역치가 유의하게 저하되어 있었다. 눈부심의 명확한 기전에 대해서는 연구가 더 필요하다. | * 눈부심 : 눈부심과 외사시와의 관련에 대해서는 아직 만족할만한 설명은 없지만 야외에서 무한대에 가까운 먼 거리를 주시할 때 눈모음을 유발시킬만한 근거리 단서가 없고, 밝은 햇빛이 망막을 자극하여 융합이 방해되어 현성 외사시가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 설명에 의하면 한 눈을 감는 것은 복시와 시각 혼란을 피하기 위한 것이며, <span style='color:blue;'>이상 망막 대응인 경우 정상 망막 대응에 비해 눈부심이 적다</span>고 발표한 연구가 이를 뒷받침한다.<br />그러나 밝은 햇빛 아래서 습관적으로 한 눈을 감는 것이 간헐 외사시에 국한된 소견이라는 것과 한 눈을 감는 것이 복시 때문이라는 것은 잘못된 개념이다. Wiggins와 von Noorden에 의하면 눈부심이 특징적으로 간헐 외사시에서 두드러진 것은 사실이나 불변 외사시나 내사시, 심지어 정상인에서도 관찰된다고 보고하였다. 한 눈을 감기 전에 복시를 느낀 경우는 한 예에서도 없었지만 공통된 점은 강한 인공 조명에 노출시킨 후 측정한 두눈 눈부심의 역치가 유의하게 저하되어 있었다. 눈부심의 명확한 기전에 대해서는 연구가 더 필요하다. | ||
* 소시증 : 원거리 외사시를 극복하기 위해 조절 눈모음을 하게 되면 <span style='color:blue;'>조절과 눈모음은 물체를 작고 가깝게 보이게 하여</span> 환자는 소시증을 느끼게 된다. | * 소시증 : 원거리 외사시를 극복하기 위해 조절 눈모음을 하게 되면 <span style='color:blue;'>조절과 눈모음은 물체를 작고 가깝게 보이게 하여</span> 환자는 소시증을 느끼게 된다. | ||
== | == 치료 == | ||
[[간헐 외사시/치료]] 참고 | |||
== 비수술 치료 == | == 비수술 치료 == | ||
Caltrider 와 Jampolsky<ref>Caltrider N et al. Overcorrecting minus lens therapy for treatment of IXT. ''Ophthalmology''. 1983 Oct;90(10):1160-5. [https://pubmed.ncbi.nlm.nih.gov/6657190/ 연결]</ref>는 과교정 근시 안경 착용으로, Freeman 과 Isenberg<ref>Freeman RS et al. The use of part-time occlusion for early onset unilateral XT.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1989 Mar-Apr;26(2):94-6. [https://pubmed.ncbi.nlm.nih.gov/2709283/ 연결]</ref>는 한눈 가림으로 수술 시기를 지연하고자 하였다. 이밖에도 눈모음 강화훈련, 프리즘 안경 착용 등의 비수술적 치료로 수술 시기를 늦추고자 하고 있으나<ref>Park JY et al. Is the nonsurgical treatment effective on IXT in children of school-age?. ''JKOS'' 1995;36:1561-7.</ref> 한계가 있다. | Caltrider 와 Jampolsky<ref>Caltrider N et al. Overcorrecting minus lens therapy for treatment of IXT. ''Ophthalmology''. 1983 Oct;90(10):1160-5. [https://pubmed.ncbi.nlm.nih.gov/6657190/ 연결]</ref>는 과교정 근시 안경 착용으로, Freeman 과 Isenberg<ref>Freeman RS et al. The use of part-time occlusion for early onset unilateral XT.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1989 Mar-Apr;26(2):94-6. [https://pubmed.ncbi.nlm.nih.gov/2709283/ 연결]</ref>는 한눈 가림으로 수술 시기를 지연하고자 하였다. 이밖에도 눈모음 강화훈련, 프리즘 안경 착용 등의 비수술적 치료로 수술 시기를 늦추고자 하고 있으나<ref>Park JY et al. Is the nonsurgical treatment effective on IXT in children of school-age?. ''JKOS'' 1995;36:1561-7.</ref> 한계가 있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