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맥락막 전이 (choroidal metastasis) 는 안구 내 악성 종양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생각된다. == 역학 == 암으로 사망한 환자들의 부검 결과 9.3%에서...) |
잔글 (→임상 소견)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대부분의 전이암은 암종이며 육종이나 흑색종은 드물다. <span style='color:blue;'>남자의 전이암은 폐암이 많고 여자는 유방암이 많다</span>. 이외에 소화기, 신장, 갑상선, 췌장 및 전립선 등에서 발생한 암도 눈으로 전이된다. 안구 전이임의 75%는 원발장소를 알고 난 후 안과검사에서 진단한 경우이나,25%는 안구암을 먼저 발견하고 원발 장소를 찾게 되므로 전이암의 임상 소견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안구에서 전이암이 발견되어도 전신 검사에서 원발암을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가 10% 정도에서 있을 수 있다. | 대부분의 전이암은 암종이며 육종이나 흑색종은 드물다. <span style='color:blue;'>남자의 전이암은 폐암이 많고 여자는 유방암이 많다</span>. 이외에 소화기, 신장, 갑상선, 췌장 및 전립선 등에서 발생한 암도 눈으로 전이된다. 안구 전이임의 75%는 원발장소를 알고 난 후 안과검사에서 진단한 경우이나,25%는 안구암을 먼저 발견하고 원발 장소를 찾게 되므로 전이암의 임상 소견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안구에서 전이암이 발견되어도 전신 검사에서 원발암을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가 10% 정도에서 있을 수 있다.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맥락막 전방보다는 후방으로 전이되는 경향이 있고, 황반이 침범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시력감소를 초래해 진단율이 높으며 이른 시기에 발견된다.<br />주로 <span style='color:blue;'>노란색 또는 백황색</span>으로관찰되며, 유암종, 갑상선 암, 신세포암의 경우 오렌지색 종양을 보일 수 있다. 같은 크기의 [[맥락막 흑색종]]보다 편평한 모양이 많고, 삼출성 망막박리가 더욱 빈번하며 광범위하게 발생한다. 망막박리는 시력 감소 및 시야 결손을 수반하며 환자는 부유물이나 섬광을 호소하기도 한다. 전방에 위치하면 수정체의 중심 이탈과 백내장을 유발하며, 크고 오래되면 [[ | 맥락막 전방보다는 후방으로 전이되는 경향이 있고, 황반이 침범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시력감소를 초래해 진단율이 높으며 이른 시기에 발견된다.<br />주로 <span style='color:blue;'>노란색 또는 백황색</span>으로관찰되며, 유암종, 갑상선 암, 신세포암의 경우 오렌지색 종양을 보일 수 있다. 같은 크기의 [[맥락막 흑색종]]보다 편평한 모양이 많고, 삼출성 망막박리가 더욱 빈번하며 광범위하게 발생한다. 망막박리는 시력 감소 및 시야 결손을 수반하며 환자는 부유물이나 섬광을 호소하기도 한다. 전방에 위치하면 수정체의 중심 이탈과 백내장을 유발하며, 크고 오래되면 [[신생 혈관 녹내장]]이 발생할 수 있다. | ||
== 검사 및 진단 == | == 검사 및 진단 == | ||
* 문진 및 눈 검사 : 많은 환자들이 이미 원발암의 진단을 받고 있기 때문에 눈 검사는 적절한 문진으로 시작해야 힌다. 한쪽 눈에서 벙변이 관찰되면 반대쪽 눈도 검사하여야 한다. 맥락막에 평평하게 침윤된 전이암은 임상적으로 인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방사선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있으므로 치료 전 수정체 및 밍믹혈관의 상태를 주의 깊게 평가해야 한다. 백내장과 방사선 망막증은 방사선 치료의 중요하고 흔한 합병증이며 시력감소의 주원인이 된다. | * 문진 및 눈 검사 : 많은 환자들이 이미 원발암의 진단을 받고 있기 때문에 눈 검사는 적절한 문진으로 시작해야 힌다. 한쪽 눈에서 벙변이 관찰되면 반대쪽 눈도 검사하여야 한다. 맥락막에 평평하게 침윤된 전이암은 임상적으로 인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방사선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있으므로 치료 전 수정체 및 밍믹혈관의 상태를 주의 깊게 평가해야 한다. 백내장과 방사선 망막증은 방사선 치료의 중요하고 흔한 합병증이며 시력감소의 주원인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