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역학)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후낭 혼탁 (posterior capsular opacity; PCO)'''{{백내장}} 은 2차 백내장이라고도 부르며, 백내장 수술 후 발생하는 가장 흔한 합병증이다. 백내장 수술 기술, 인공 수정체 재질 및 디자인의 변천에 따라서 후낭 혼탁율이 많이 감소하였지만 여전히 백내장 수술 후 시력을 감소시키는 주요한 병인이다. | '''후낭 혼탁 (posterior capsular opacity; PCO)'''{{백내장}} 은 2차 백내장이라고도 부르며, 백내장 수술 후 발생하는 가장 흔한 합병증이다. 백내장 수술 기술, 인공 수정체 재질 및 디자인의 변천에 따라서 후낭 혼탁율이 많이 감소하였지만 여전히 백내장 수술 후 시력을 감소시키는 주요한 병인이다. | ||
== 역학 == | == 역학 == | ||
[[백내장 낭외 적출술]] 후 | [[백내장 낭외 적출술]] (ECCE) 직후 깨끗했던 후낭에 발생하는 혼탁 은 수술 후 수개월~수년 까지 다양한 시기에 발생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환자의 나이가 많아질수록 감소한다. Sinskey 등<ref>Sinskey RM et al. The posterior capsule and PE. ''J Am Intraocul Implant Soc''. 1978 Oct;4(4):206-7. [https://pubmed.ncbi.nlm.nih.gov/748313/ 연결]</ref>은 평균 26개월에 43%의 환자에서 발생했다고 했고,Wilhelmus 등<ref>Wilhelmus KR et al. Posterior capsule opacification following PE. ''Ophthalmic Surg''. 1980 Apr;11(4):264-7. [https://pubmed.ncbi.nlm.nih.gov/7383530/ 연결]</ref>은 술 후 2~3년에 28%의 환자에서 혼탁이 발생했다고 했다. 젊은 나이에 백내장 수술을 받은 경우에는 2년 후에 거의 100%에서 발생한다<ref>Metge P et al. Intercapsular implantation in children. ''European Journal of Implant and Refractive Surgery'' 1990;2(4):319-323</ref>. ECCE보다는 수정체 유화술에서 더 적게 생기고<ref>Davidson MG et al. Effect of surgical technique on in vitro PCO. ''JCRS''. 2000 Oct;26(10):1550-4. [https://pubmed.ncbi.nlm.nih.gov/11033406/ 연결]</ref>, [[인공수정체]]의 후면이 볼록하여 후낭과 밀착 될 수 있는 구조일 때 발생률이 낮았다<ref>Born CP et al. Effect of IOL optic design on PCO. ''JCRS''. 1990 Mar;16(2):188-92. [https://pubmed.ncbi.nlm.nih.gov/2329475/ 연결]</ref>. | ||
== 발생 기전 == | == 발생 기전 == | ||
# 활동적인 수정체 상피 세포의 증식 및 이동 | # 활동적인 수정체 상피 세포의 증식 및 이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