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상 검안경 검사: 두 판 사이의 차이

94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10월 26일 (수)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장점)
3번째 줄: 3번째 줄:
환자와 검사자가 모두 정시안인 경우에 환자의 안저에서 나온 광선이 눈 밖에서 평행이 되어 마주 보고 있는 검사자의 안저에 상이 맺히는 것이다. 검안경에 내장되어 있는 전구의 광선이 환자의 동공 하부에 맺히도록 렌즈와 프리즘 또는 반사경이 조합되어 있으며, 눈 안으로 들어간 광선이 동공 상부를 통해 검사자의 눈으로 들어와 약 15배 확대된 직립실상을 얻을 수 있다.
환자와 검사자가 모두 정시안인 경우에 환자의 안저에서 나온 광선이 눈 밖에서 평행이 되어 마주 보고 있는 검사자의 안저에 상이 맺히는 것이다. 검안경에 내장되어 있는 전구의 광선이 환자의 동공 하부에 맺히도록 렌즈와 프리즘 또는 반사경이 조합되어 있으며, 눈 안으로 들어간 광선이 동공 상부를 통해 검사자의 눈으로 들어와 약 15배 확대된 직립실상을 얻을 수 있다.
== 장점 ==
== 장점 ==
70㎛의 비교적 뛰어난 해상력을 가지고 있으며, 가격이 저렴하고 휴대하기 간편하다.
가격이 저렴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휴대가 간편하다. 산동이 필요하지 않고 70㎛의 높은 해상력을 가지며 15배로 확대된 정립상으로 망막을 관찰할 수 있다.
 
== 단점 ==
== 단점 ==
단안으로 검사하기 때문에 입체시가 불가능하며, 매체에 혼탁이 있는 경우에 관찰하기 어렵고, 약 8~10도 범위의 안저만을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검안경을 가능한 한 환자의 눈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하여 관찰 범위를 넓힐 필요가 있다.
단안으로 검사하기 때문에 입체시가 불가능하며, 매체에 혼탁이 있는 경우에 관찰하기 어렵고, 약 8~10도 범위의 안저만을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검안경을 가능한 한 환자의 눈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하여 관찰 범위를 넓힐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