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도막 삼출 증후군: 두 판 사이의 차이

588 바이트 제거됨 ,  2022년 11월 2일 (수)
잔글
14번째 줄: 14번째 줄:
* 주변이 평평하거나 윤상형의 섬모체 맥락막 박리와 동반된 망막 박리가 관찰될 수도 있고
* 주변이 평평하거나 윤상형의 섬모체 맥락막 박리와 동반된 망막 박리가 관찰될 수도 있고
* 공막을 압박하지 않아도 거상연이 관찰되 수 있으며
* 공막을 압박하지 않아도 거상연이 관찰되 수 있으며
* 저안압, 안내 종양, 열공 망막 박리, 안구 내 염증 등으로 인한 섬모체-맥락막 박리를 제외<br />했을 때 진단할 수 있다.
* 저안압, 안내 종양, 열공 망막 박리, 안구 내 염증 등으로 인한 섬모체-맥락막 박리를 제외
* B-scan : 망막 및 맥락막 박리를 관찰할 수 있고 안구벽의 비후 또한 관찰할 수 있다.
했을 때 진단할 수 있다.
* 초음파 생체 현미경 :  윤상의 주변부 섬모체-맥락막 박리가 나타날 수 있다.
* FA : 형광의 누출 없이 형광의 표범 반점 패턴의 과형광과 저형광을 나타낸다.
* ICGA : 초기 확산된 과립형의 맥락막 과형광이 관찰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과형광이 증가되어 후기까지 지속된다.
* OCT : 표범 반점 부위의 국소적인 망막 색소상피의 두께 증가를 관찰할 수 있다.


== 감별 진단 ==
== 감별 진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