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도막 삼출 증후군: 두 판 사이의 차이

2 바이트 제거됨 ,  2022년 11월 2일 (수)
잔글
5번째 줄: 5번째 줄:
공막과 또아리 정맥의 선천 이상으로 인한 정맥혈의 배출 장애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다. 혈관 밖으로 배출된 혈장 단백은 공막을 통하여 확산되어 안구 밖으로 배출되거나 공막 후부의 또아리 정맥을 통하여 안구 밖으로 배출되기도 한다. 이들 중 한 가지 이상의 기전이 손상되거나 맥락막 누출이 증가하면 포도막 삼출이 발생할 수 있으며 포도막 삼출의 원인은 염증에 의한 삼출, 정수압에 의한 삼출, 포도막 삼출 증후군에 의한 삼출로 나누어질 수 있다.<br />소안구증이나 포도막 삼출 증후군 환자에서 공막 두께의 증가가 자주 발견되는데 이러한 공막 두께의 증가는 공막 내 단백질 투과의 감소를 일으키고 또아리 정맥 주변에 밀집한 콜라겐 조직에 의해 정맥 배출 통로가 억제되어 단백질의 정상적인 이동이 감소하게 된다. 혈관 밖으로 나온 혈장 단백은 맥락막 상강에 모여 더욱 또아리 정맥을 압박하게 되어 포도막의 울혈이 악화되며 혈장 단백이 혈관 밖으로 나오게하는 악순환을 거듭하게 된다. 맥락막 상강의 단백은 직접 수막간극 또는 경막하강에까지 도달하게 되어 뇌척수액의 단백 농도가 증가하게 된다.
공막과 또아리 정맥의 선천 이상으로 인한 정맥혈의 배출 장애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다. 혈관 밖으로 배출된 혈장 단백은 공막을 통하여 확산되어 안구 밖으로 배출되거나 공막 후부의 또아리 정맥을 통하여 안구 밖으로 배출되기도 한다. 이들 중 한 가지 이상의 기전이 손상되거나 맥락막 누출이 증가하면 포도막 삼출이 발생할 수 있으며 포도막 삼출의 원인은 염증에 의한 삼출, 정수압에 의한 삼출, 포도막 삼출 증후군에 의한 삼출로 나누어질 수 있다.<br />소안구증이나 포도막 삼출 증후군 환자에서 공막 두께의 증가가 자주 발견되는데 이러한 공막 두께의 증가는 공막 내 단백질 투과의 감소를 일으키고 또아리 정맥 주변에 밀집한 콜라겐 조직에 의해 정맥 배출 통로가 억제되어 단백질의 정상적인 이동이 감소하게 된다. 혈관 밖으로 나온 혈장 단백은 맥락막 상강에 모여 더욱 또아리 정맥을 압박하게 되어 포도막의 울혈이 악화되며 혈장 단백이 혈관 밖으로 나오게하는 악순환을 거듭하게 된다. 맥락막 상강의 단백은 직접 수막간극 또는 경막하강에까지 도달하게 되어 뇌척수액의 단백 농도가 증가하게 된다.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초기에는 맥락막 울혈, 맥락막 박리, 그리고 이차적인 [[장액 망막 박리]]이고 윤상의 맥락막 박리가 동반되기도 한다. 일반적인 후기 징후는 맥락막 또는 [[망막 색소 상피]]의 변화이며 대부분의 경우 머리 위치에 따라 망막하액의 이동이 관찰되고 일반적으로 안압은 정상이며 쉴렘관 내에 혈액이 차 있는 소견이 나타난다. 염증 세포는 거의 없으며, 경한 상공막혈관 확장이 관찰되기도 한다.
초기에는 맥락막 울혈, 맥락막 박리, 그리고 이차적인 [[장액 망막박리]]이고 윤상의 맥락막 박리가 동반되기도 한다. 일반적인 후기 징후는 맥락막 또는 [[망막 색소상피]]의 변화이며 대부분의 경우 머리 위치에 따라 망막하액의 이동이 관찰되고 일반적으로 안압은 정상이며 쉴렘관 내에 혈액이 차 있는 소견이 나타난다. 염증 세포는 거의 없으며, 경한 상공막혈관 확장이 관찰되기도 한다.
* B-scan : 망막 및 맥락막 박리를 관찰할 수 있고 안구벽의 비후 또한 관찰할 수 있다.
* B-scan : 망막 및 맥락막 박리를 관찰할 수 있고 안구벽의 비후 또한 관찰할 수 있다.
* 초음파 생체 현미경 :  윤상의 주변부 섬모체-맥락막 박리가 나타날 수 있다.
* 초음파 생체 현미경 :  윤상의 주변부 섬모체-맥락막 박리가 나타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