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병태 생리) |
잔글 (→역학)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포도막 삼출 증후군 (uveal effusion syndrome; UES)'''{{망막}} 은 맥락막 상강 공간과 [[장액 망막 박리]] 내의 유체 축적을 특징으로 하는 희귀 안질환으로서 일부의 경우에 원시 또는 소안구증과 동반된다. 이 질환은 재발과 완화가 반복되는 장기적인 경과를 보이며 황반하액이나 이차적인 [[망막 색소상피]] (RPE) 의 변화로 인해 심각한 시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ref name=r2>Elagouz M et al. Uveal effusion syndrome. ''Surv Ophthalmol''. 2010 Mar-Apr;55(2):134-45. [https://pubmed.ncbi.nlm.nih.gov/20159229/ 연결]</ref>. 1963년 Schepens와 Brockhurst에 의해 첫 증례가 보고된 이후 역학, 병인, 분류, 치료, 예후에 대해서 많이 연구되고 있다<ref name=r3>Schepens CL, Brockhurst RJ. Uveal Effusion. 1. Clinical Picture. ''Arch Ophthalmol''. 1963 Aug;70:189-201. [https://pubmed.ncbi.nlm.nih.gov/14060098/ 연결]</ref>. | '''포도막 삼출 증후군 (uveal effusion syndrome; UES)'''{{망막}} 은 맥락막 상강 공간과 [[장액 망막 박리]] 내의 유체 축적을 특징으로 하는 희귀 안질환으로서 일부의 경우에 원시 또는 소안구증과 동반된다. 이 질환은 재발과 완화가 반복되는 장기적인 경과를 보이며 황반하액이나 이차적인 [[망막 색소상피]] (RPE) 의 변화로 인해 심각한 시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ref name=r2>Elagouz M et al. Uveal effusion syndrome. ''Surv Ophthalmol''. 2010 Mar-Apr;55(2):134-45. [https://pubmed.ncbi.nlm.nih.gov/20159229/ 연결]</ref>. 1963년 Schepens와 Brockhurst에 의해 첫 증례가 보고된 이후 역학, 병인, 분류, 치료, 예후에 대해서 많이 연구되고 있다<ref name=r3>Schepens CL, Brockhurst RJ. Uveal Effusion. 1. Clinical Picture. ''Arch Ophthalmol''. 1963 Aug;70:189-201. [https://pubmed.ncbi.nlm.nih.gov/14060098/ 연결]</ref>. | ||
== 역학 == | == 역학 == | ||
소안구성 또는 특발성은 남녀 구분 없이 발생할 수 있지만, 특발성은 남성에서 더 많은 경향이 있다. 양안 발생이 흔하며 한쪽에 발생할 경우 중년의 남성에서 좀 더 호발하는 경향이 있다. 발생 빈도에 대해 보고된 바가 없지만 <span style='color:blue;'>매우 드문 질환</span>이다<ref name=r2 /><ref name=r3 /><ref>Uyama M et al. UES : clinical features, surgical treatment, histologic examination of the sclera, and pathophysiology. ''Ophthalmology''. 2000 Mar;107(3):441-9. [https://pubmed.ncbi.nlm.nih.gov/10711879/ | 소안구성 또는 특발성은 남녀 구분 없이 발생할 수 있지만, 특발성은 남성에서 더 많은 경향이 있다. 양안 발생이 흔하며 한쪽에 발생할 경우 중년의 남성에서 좀 더 호발하는 경향이 있다. 발생 빈도에 대해 보고된 바가 없지만 <span style='color:blue;'>매우 드문 질환</span>이다<ref name=r2 /><ref name=r3 /><ref name=r4>Uyama M et al. UES : clinical features, surgical treatment, histologic examination of the sclera, and pathophysiology. ''Ophthalmology''. 2000 Mar;107(3):441-9. [https://pubmed.ncbi.nlm.nih.gov/10711879/ | ||
연결]</ref>. | 연결]</ref>. | ||
== 병태 생리 == | == 병태 생리 == | ||
공막과 또아리 정맥의 선천 이상으로 인한 정맥혈의 배출 장애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다. 혈관 밖으로 배출된 혈장 단백은 공막을 통하여 확산되어 안구 밖으로 배출되거나 공막 후부의 또아리 정맥을 통하여 안구 밖으로 배출되기도 한다. 이들 중 한 가지 이상의 기전이 손상되거나 맥락막 누출이 증가하면 포도막 삼출이 발생할 수 있으며 포도막 삼출의 원인은 염증에 의한 삼출, 정수압에 의한 삼출, 포도막 삼출 증후군에 의한 삼출로 나누어질 수 있다. | 공막과 또아리 정맥의 선천 이상으로 인한 정맥혈의 배출 장애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다. 혈관 밖으로 배출된 혈장 단백은 공막을 통하여 확산되어 안구 밖으로 배출되거나 공막 후부의 또아리 정맥을 통하여 안구 밖으로 배출되기도 한다. 이들 중 한 가지 이상의 기전이 손상되거나 맥락막 누출이 증가하면 포도막 삼출이 발생할 수 있으며 포도막 삼출의 원인은 염증에 의한 삼출, 정수압에 의한 삼출, 포도막 삼출 증후군에 의한 삼출로 나누어질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