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지샘종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피지샘종 (sebaceous adenoam) 은 피지샘 기원의 드문 양성 종양이다.
역학
대부분의 피지샘 증식과 마찬가지로, 머리와 목 부위에서 고령에게서 더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임상 소견
주로 얼굴, 눈꺼풀, 두피에 70% 비율로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갈색, 분홍, 노랑색의 결절 혹은 구진의 형태를 띠며 평균 5mm 정도의 크기를 보인다[2][3].
감별 진단
- 콩다래끼 : 피지샘종과는 달리 병변 뿐만 아니라 주변의 피부 및 눈꺼풀, 결막 등의 조직에 염증 소견이 흔히 동반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 소실이 가능
하다는 점이 감별점이 된다.
- 피지샘 상피종 (sebaceoma) : 임상 소견이 피지샘종과 거의 유사하여 단순 형태만으로는 감별 진단하기는 어렵다[4].
- 피지샘 암종 (sebaceous gland carcinoma) : 보통 결절 모양의 병변이 흔하나 임상 양상은 다양하여서, 진행성의 빠른 크기 성장을 보일 수 있고, 만성 눈꺼풀 결막염이나 다래끼 등의 염증 소견처럼 보이기도 하며, 미만형으로 성장하는 형태를 보이기도 하여 감별이 어려운 면이 있다[5].
간혹 내부 장기 악성 종양, 특히 위암 및 대장암과 연관된 경우가 있으며, 이를 Muir-Torre 증후군 (MTS) 이라고 한다[6]. 이 경우 41%에서 피부의 피지샘 종양이 첫 징후가 된다는 보고가 있어 임상적으로 중요성이 있다.
참고
- ↑ Singh AD et al. Sebaceous adenoma of the eyelid in Muir-Torre syndrome. Arch Ophthalmol. 2005 Apr;123(4):562-5. 연결
- ↑ Takayama K et al. A case of sebaceous adenoma of the eyelid showing excessively rapid growth. Clin Ophthalmol. 2013;7:667-70. 연결
- ↑ Deprez M et al.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eyelid skin tumors. A retrospective study of 5504 cases and review of literature. Am J Dermatopathol. 2009 May;31(3):256-62. 연결
- ↑ Lazar AJ et al. Sebaceous neoplasia and Torre-Muir syndrome. Curr Diagn Pathol. 2007 Aug;13(4):301-319. 연결
- ↑ 이종주 등, 눈꺼풀 피지샘암의 임상 양상 및 치료, JKOS 2008;49(2):183-189 연결
- ↑ Jagan L et al. Sebaceous adenomas of the eyelid and Muir-Torre Syndrome. BJO. 2015 Jul;99(7):909-13.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