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2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T2[1] 공식은 SRK/T 공식에서 IOL 값을 예측함에 있어 각막 곡률과 안축장의 길이를 나타낼 때 발생하는 비생리학적인 오류를 개선하고자 개발되었다. 이는 환자들의 각막 높이를 측정한 데이터에 회귀 공식을 도입하여, 이전 SRK/T 공식에서 발생하였던 비생리학적인 각막 높이 (estimated corneal height) 값을 수정하였다.
정확도
공식의 정확성이 SRK/T에 비하여 9.7% 상승하는 결과를 가져왔다[2]. T2는 Sheard 등[2]의 연구 이후 다른 공식과 비교된 연구가 없었으나, Kane 등[3]은 SRK/T와 비교했을 때 대부분의 안축장의 길이에서 T2 공식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더 정확한 예측치를 보였으며, 예외적으로 안축장의 길이가 긴 (26 mm) 그룹에선 T2가 오히려 SRK/T보다 부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
인공수정체 도수 계산 공식 | ||
1세대 | SRK, L-SRK | |
2세대 | SRK II, Hoffer, Holladay | |
3세대 | SRK/T, Hoffer Q, Holladay 1 | |
4세대 | Haigis, T2, Holladay 2, Barrett Universal II, Olsen | |
인공 지능 | Hill-RBF, Kane, Ladas | |
굴절 교정 수술 후 | Shammas-PL, Haigis-L, Barrett True-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