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체 전위: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 원인 == | == 원인 == | ||
주로 외상에 의해서 발생하며, 특히 이전에 안구 내 수술을 받았거나, 공막염이 있었거나, 공막 결체 조직을 약화시키는 전신 질환이 있는 경우에 더 잘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섬유주 절제술]]을 받은 눈에서 외상 후 발생한 수정체 전위의 보고가 있다<ref>Kooner KS et al. Delayed traumatic phacocele following trabeculectomy. ''Ophthalmic Surg Lasers Imaging''. 2012 May 31;43 Online:e55-7. [https://pubmed.ncbi.nlm.nih.gov/22658446/ 연결]</ref>. | 주로 외상에 의해서 발생하며, 특히 이전에 안구 내 수술을 받았거나, 공막염이 있었거나, 공막 결체 조직을 약화시키는 전신 질환이 있는 경우에 더 잘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섬유주 절제술]]을 받은 눈에서 외상 후 발생한 수정체 전위의 보고가 있다<ref>Kooner KS et al. Delayed traumatic phacocele following trabeculectomy. ''Ophthalmic Surg Lasers Imaging''. 2012 May 31;43 Online:e55-7. [https://pubmed.ncbi.nlm.nih.gov/22658446/ 연결]</ref>. | ||
== 임상 소견 == | |||
수정체가 원래 위치에서 결막하 공간으로 전위되기 위해서는 공막 파열이 있어야 하는데 보고된 바에 의하면 공막 파열의 가장 흔한 부위는 상비측이었고, 상측이나 상이측에서도 발생하였다. 전위된 수정체는 파열된 공막 근처에 있거나 결막하 공간에서 이동하여 아래쪽에서 발견된 경우도 있었다. 상비측이 가장 흔한 이유는 외상 발생시 위쪽은 상측 안와뼈 가장자리, 비측은 코뼈에 의해서 튀어나온 부분이 물리적으로 외부 충격을 방어해주는 효과를 보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하이측이 충격을 받기 쉽고, 그 결과 힘이 상비측의 방향으로 전달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ref>Narang P et al. Clinical outcomes in traumatic pseudophacocele : A rare clinical entity. ''Indian J Ophthalmol''. 2017 Dec;65(12):1465-1469. [https://pubmed.ncbi.nlm.nih.gov/29208836/ 연결]</ref>. | |||
{{참고}} | {{참고}} |
2023년 2월 14일 (화) 06:53 판
수정체 전위 (phacocele) 는 수정체의 결막하 공간으로의 이탈을 말한다.
원인
주로 외상에 의해서 발생하며, 특히 이전에 안구 내 수술을 받았거나, 공막염이 있었거나, 공막 결체 조직을 약화시키는 전신 질환이 있는 경우에 더 잘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섬유주 절제술을 받은 눈에서 외상 후 발생한 수정체 전위의 보고가 있다[1].
임상 소견
수정체가 원래 위치에서 결막하 공간으로 전위되기 위해서는 공막 파열이 있어야 하는데 보고된 바에 의하면 공막 파열의 가장 흔한 부위는 상비측이었고, 상측이나 상이측에서도 발생하였다. 전위된 수정체는 파열된 공막 근처에 있거나 결막하 공간에서 이동하여 아래쪽에서 발견된 경우도 있었다. 상비측이 가장 흔한 이유는 외상 발생시 위쪽은 상측 안와뼈 가장자리, 비측은 코뼈에 의해서 튀어나온 부분이 물리적으로 외부 충격을 방어해주는 효과를 보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하이측이 충격을 받기 쉽고, 그 결과 힘이 상비측의 방향으로 전달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