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 →기전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각막}} |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각막}} | ||
== 기전 == | == 기전 == | ||
아라키돈산 대사와 연관된 효소인 시클로옥시게나아제 (cyclooxygenase) 활동을 감소시켜 PGs 생성, 특히 PGE<sub>2</sub> 와 PGI<sub>2</sub> 생성을 | 아라키돈산 대사와 연관된 효소인 시클로옥시게나아제 (cyclooxygenase) 활동을 감소시켜 PGs 생성, 특히 PGE<sub>2</sub> 와 PGI<sub>2</sub> 생성을 감소시켜<ref>Schultz T et al. NSAID Pretreatment Inhibits PG Release in FS Laser-Assisted Cataract Surgery. ''JRS''. 2015 Dec;31(12):791-4. [https://pubmed.ncbi.nlm.nih.gov/26653722/ 연결]</ref> 안구 염증을 줄이는 데 널리 사용된다<ref>Juthani VV et al. NSAIDs vs corticosteroids for controlling inflammation after uncomplicated cataract surgery.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7 Jul 3;7(7):CD010516. [https://pubmed.ncbi.nlm.nih.gov/28670710/ 연결]</ref><ref>Holló G et al. CME related to cataract surgery and topical PGAs : Mechanism, diagnosis, and management. ''Surv Ophthalmol''. 2020 Sep-Oct;65(5):496-512. [https://pubmed.ncbi.nlm.nih.gov/32092363/ 연결]</ref>. 국내외 연구에서 수술 전후 점안 NSAIDs 사용이 백내장 수술 후 황반부종의 감소에 효과적이라 보고하였는데<ref>Kim SJ et al. Topical NSAIDs and Cataract Surgery : A Report by the AAO. ''Ophthalmology''. 2015 Nov;122(11):2159-68. [https://pubmed.ncbi.nlm.nih.gov/26123091/ 연결]</ref><ref>Quintana NE et al. NSAIDs in the prevention of CME after uneventful cataract surgery. ''Clin Ophthalmol''. 2014 Jun 25;8:1209-12. [https://pubmed.ncbi.nlm.nih.gov/25028534/ 연결]</ref>, ketorolac 0.45%, diclofenac 0.1% 및 nepafenac 0.1%는 PGE2를 감소시키고, bromfenac 0.09%는 IL-6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 ||
== 장점 == | == 장점 == | ||
스테로이드 점안약과 비교하여 안압 상승, 상처 치유 지연, 각막 감염 및 천공, 백내장 발생의 위험성이 적은 비교적 안전한 약제이다. 실제로 [[ | 스테로이드 점안약과 비교하여 안압 상승, 상처 치유 지연, 각막 감염 및 천공, 백내장 발생의 위험성이 적은 비교적 안전한 약제이다. 실제로 [[나이관련 황반변성]] (AMD) 환자에서 유리체내 anti-VEGF 주사 치료와 이 약제를 병행 시 COX2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항염증 효과를 보이며 이로 인해 황반 부종을 감소시키게 되어 부가적인 치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여러 연구가 있었다<ref>Shimura M et al. Topical bromfenac reduces the frequency of intravitreal bevacizumab in patients with BRVO. BJO. 2015 Feb;99(2):215-9. [https://pubmed.ncbi.nlm.nih.gov/25185254/ 연결]</ref><ref>Flaxel C et al. Prospective RCT of combination ranibizumab (Lucentis) and bromfenac (Xibrom) for neovascular ARMD : a pilot study. Retina. 2012 Mar;32(3):417-23. [https://pubmed.ncbi.nlm.nih.gov/21862953/ 연결]</ref><ref>Li S et al. Combinatorial treatment with topical NSAIDs and anti-VEGF for ARMD, a meta-analysis. PLoS One. 2017 Oct 6;12(10):e0184998. [https://pubmed.ncbi.nlm.nih.gov/28985220/ 연결]</ref>. | ||
== 부작용 == | == 부작용 == |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 종류 == | == 종류 == | ||
=== 브롬페낙 (bromfenac) === | === [[브롬페낙]] (bromfenac) === | ||
비교적 최신 NSAID 점안액으로 유리체내 침투력이 강화되어 [[ | 비교적 최신 NSAID 점안액으로 유리체내 침투력이 강화되어 [[나이관련 황반변성|AMD]], [[당뇨 황반부종]] (DME) 등 망막 질환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
=== 디클로페낙 (diclofenac) === | === 디클로페낙 (diclofenac) === | ||
| 43번째 줄: | 31번째 줄: | ||
|- | |- | ||
|아이펙신 점안액||5, 6ml||국제||2,775원/5ml, 3,330원/6ml | |아이펙신 점안액||5, 6ml||국제||2,775원/5ml, 3,330원/6ml | ||
|- | |- style="color:red;" | ||
|옵타낙 점안액||5ml||삼일||2,885원/5ml | |옵타낙 점안액||5ml||삼일||2,885원/5ml | ||
|- | |- | ||
| 63번째 줄: | 51번째 줄: | ||
|- | |- | ||
!제품명||용량||제조사||약가 | !제품명||용량||제조사||약가 | ||
|- | |- style="color:red;" | ||
|바슈롬 플루비프로펜 나트륨 점안액||2.5ml||바슈롬||5,210원/2.5ml | |바슈롬 플루비프로펜 나트륨 점안액||2.5ml||바슈롬||5,210원/2.5ml | ||
|} | |} | ||
| 73번째 줄: | 61번째 줄: | ||
|- | |- | ||
!제품명||성분, 함량||용량||제조사||약가 | !제품명||성분, 함량||용량||제조사||약가 | ||
|- | |- style="color:red;" | ||
|아큐베일 점안액 0.45%||ketorolac tromethamine 4.5mg/ml||0.4ml||한국 앨러간||2,208원/0.4ml | |아큐베일 점안액 0.45%||ketorolac tromethamine 4.5mg/ml||0.4ml||한국 앨러간||2,208원/0.4ml | ||
|- | |- style="color:red;" | ||
|키톨락 점안액||ketorolac tromethamine 5mg/ml||5ml||한미 약품||8,515원/5ml | |키톨락 점안액 0.5%||ketorolac tromethamine 5mg/ml||5ml||한미 약품||8,515원/5ml | ||
|} | |} | ||
{{참고}} | {{참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