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비결핵 마이코박테리아 각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b>비결핵성 마이코박테리아 각막염 (nontuberculous mycobacterial keratitis; NTM keratitis)</b> 은 "비정형 (atypical) 마이코박테리아 각막염이라고도 하...
 
잔글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b>비결핵성 마이코박테리아 각막염 (nontuberculous mycobacterial keratitis; NTM keratitis)</b> "비정형 (atypical) 마이코박테리아 각막염이라고도 하며, 1965년에 Mycobacterium fortuitum에 의한 속발 각막염이 보고된 후 많은 사례들이 발표되었지만, 미생물 각막염의 *1%를 차지하여 흔하지는 않은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하지만 [[라식]]과 같은 굴절 교정 수술이 일반화되면서 수술 후에 생기는 미생물 각막염의 주요 병원체로 부상하게 되었다.
'''비결핵 마이코박테리아 각막염 (nontuberculous mycobacterial keratitis; NTMK)''' 은 비정형 (atypical) 마이코박테리아 각막염이라고도 하며, 1965년에 Mycobacterium fortuitum에 의한 속발 각막염이 보고된 후 많은 사례들이 발표되었지만, 미생물 각막염의 *1%를 차지하여 흔하지는 않은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하지만 [[라식]]과 같은 굴절 교정 수술이 일반화되면서 수술 후에 생기는 미생물 각막염의 주요 병원체로 부상하게 되었다.
== 역학 ==
== 역학 ==
각막 외상이나 수술 후 1~14주에 지연되어 발현되는 것이 특징이다.
각막 외상이나 수술 후 1~14주에 지연되어 발현되는 것이 특징이다.
== 비결핵성 마이코박테리아의 분류 (Runyon 분류) ==
Runyon은 성장과 색소 생산에 기초하여 네 군으로 분류하였다.
* I (photochromogens) : <i>M. marinum</i>
* II (scotochromogens) : <i>M. flavescens</i>, <i>M. gordonae</i>, <i>M. szulgai</i>
* III (nonchromogens) : <i>M. avium-intracellulare</i>, <i>M. asiaticum</i>, M. nonchromogenicum</i>, <i>M. triviale</i>
* IV (rapid growers) : <i>M. chelonae</i>, <i>M. fortuitum</i>, <i>M. abscessus</i>, <i>M. mucogenicum</i><p>I~III군은 실내 온도 배양에서 천천히 자라 군체를 형성하는데, 기간은 2~3주가 걸리며 각각은 색소 형성에 의해 구별된다.<br />IV군은 실내 온도 배양에서 빠르게 자라 군체를 형성하는데, 기간은 3~5일이며 색소를 생산하지 않는다.
== 위험 인자 ==
== 위험 인자 ==
* [[라식]] (LASIK) : 최근의 가장 큰 위험 요인이다. 전체적으로 라식 후 미생물 각막염의 발생율은 낮지만 NTM은 라식 후 각막염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 중 <i>M. chelonae</i>에 의한 각막염이 가장 많다고 보고되고 있다. 감염은 일반적으로 라식 과정에서 각막 기질이 직접 노출되고 수술 후 피판이 존재하여 항생제 침투가 어려워서 생기는 경우가 많다. 즉 감염은 라식, 과도한 외과적 피판 조작, 상피 손상, [[상피 안내 증식]]을 치료하기 위해 피판을 들어올리는 경우, 방사상 각막 절개술[/a] 등으로 인해 생긴다. 또한 미세 각막 절개도로 인해 감염될 수도 있지만, 국내에서 보고된 것처럼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한 라식 이후에도 M. abscessus에 감염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한 보고에서는 평형 염액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에서 NTM이 검출되었고, 미세 각막 절개도 소독에 사용된 물에서도 NTM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사례들로부터 NTM 각막염이 라식 이후에 유행성으로 일어날 수 있으며 이를 철저히 평가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
* [[라식]] (LASIK) : 최근의 가장 큰 위험 요인이다. 전체적으로 라식 후 미생물 각막염의 발생율은 낮지만 NTM은 라식 후 각막염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 중 <i>M. chelonae</i>에 의한 각막염이 가장 많다고 보고되고 있다. 감염은 일반적으로 라식 과정에서 각막 기질이 직접 노출되고 수술 후 피판이 존재하여 항생제 침투가 어려워서 생기는 경우가 많다. 즉 감염은 라식, 과도한 외과적 피판 조작, 상피 손상, [[상피 안내 증식]]을 치료하기 위해 피판을 들어올리는 경우, 방사상 각막 절개술[/a] 등으로 인해 생긴다. 또한 미세 각막 절개도로 인해 감염될 수도 있지만, 국내에서 보고된 것처럼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한 라식 이후에도 M. abscessus에 감염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한 보고에서는 평형 염액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에서 NTM이 검출되었고, 미세 각막 절개도 소독에 사용된 물에서도 NTM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사례들로부터 NTM 각막염이 라식 이후에 유행성으로 일어날 수 있으며 이를 철저히 평가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
* 스테로이드 점안약 : NTM 각막염 증례들의 일관적인 특징은 감염 발생 전이나 감염 중에 스테로이드 점안약을 사용했다는 점이다. M. fortuitum 각막염의 동물 모델에서 토끼의 각막에 세균을 주입하면 초기에 각막 기질 내 육아종성 염증 및 급만성의 혼합성 염증이 나타났으나 3~4주 후에 활성 감염과 미생물이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methylprednisolone을 결막하로 접종한 토끼에서는 각막 기질 내 육아종성 염증이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무통 각막 궤양과 천천히 확대되는 위성 병변이 나타났고 4주 후에도 급성 염증과 미생물이 발견되었다. 임상적으로도 이와 비슷하게 스테로이드를 점안하지 않았던 환자들에서는 NTM이 적게 발견되었고, 스테로이드를 점안한 환자들에서는 염증성 세포 반응이 적었으나 수많은 NTM이 발견되었다. 이로 미루어볼 때 스테로이드 점안약은 NTM의 증식을 촉진하고 만성 감염을 일으킨다고 볼 수 있다.
* 스테로이드 점안약 : NTM 각막염 증례들의 일관적인 특징은 감염 발생 전이나 감염 중에 스테로이드 점안약을 사용했다는 점이다. M. fortuitum 각막염의 동물 모델에서 토끼의 각막에 세균을 주입하면 초기에 각막 기질 내 육아종성 염증 및 급만성의 혼합성 염증이 나타났으나 3~4주 후에 활성 감염과 미생물이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methylprednisolone을 결막하로 접종한 토끼에서는 각막 기질 내 육아종성 염증이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무통 각막 궤양과 천천히 확대되는 위성 병변이 나타났고 4주 후에도 급성 염증과 미생물이 발견되었다. 임상적으로도 이와 비슷하게 스테로이드를 점안하지 않았던 환자들에서는 NTM이 적게 발견되었고, 스테로이드를 점안한 환자들에서는 염증성 세포 반응이 적었으나 수많은 NTM이 발견되었다. 이로 미루어볼 때 스테로이드 점안약은 NTM의 증식을 촉진하고 만성 감염을 일으킨다고 볼 수 있다.
== 감별 진단 ==
== 감별 진단 ==
* [[광범위 절편사이 각막염]] (DLK) : 구분하는 것은 쉽지 않지만, 스테로이드가 DLK 치료에 중요한 부분이며 동시에 NTM 각막염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이유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DLK의 경우 침윤이 항상 경계면에 국한되는 반면, NTM 각막염은 앞쪽이나 뒤쪽 각막 실질까지 퍼지는 양상이 자주 나타난다. 또한 DLK가 NTM 각막염보다 수술 후 더 빨리 발생한다는 임상 양상도 감별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광범위 절편 사이 각막염]] (DLK) : 구분하는 것은 쉽지 않지만, 스테로이드가 DLK 치료에 중요한 부분이며 동시에 NTM 각막염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이유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DLK의 경우 침윤이 항상 경계면에 국한되는 반면, NTM 각막염은 앞쪽이나 뒤쪽 각막 실질까지 퍼지는 양상이 자주 나타난다. 또한 DLK가 NTM 각막염보다 수술 후 더 빨리 발생한다는 임상 양상도 감별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진균 각막염]]
* [[진균 각막염]]
* 감염 결정 각막병증
* 감염 결정 각막병증
== 약물 치료 ==
== 약물 치료 ==
* aminoglycoside (amikacin, tobramycin) : 살균성이며 선택적으로 세균의 30S와 50S 리보솜에 붙어 단백질 합성을 억제한다.
* aminoglycoside (amikacin, tobramycin) : 살균성이며 선택적으로 세균의 30S와 50S 리보솜에 붙어 단백질 합성을 억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