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도막염 녹내장: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포도막염에 의한 녹내장 (uveitic glaucoma) 은 일반적으로 안염증이 있을 때에는 방수의 생산이 줄어 안압이 하강하지만 방수 유출률이 저하...)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포도막염에 의한 녹내장 (uveitic glaucoma) 은 일반적으로 안염증이 있을 때에는 방수의 생산이 줄어 안압이 하강하지만 방수 유출률이 저하된 상태에서는 방수의 생산이 줄어도 안압 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 안염증이 방수의 생산과 유출 두 곳에 모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안압이 높을 때와 낮을 때의 안압 변동차가 상당히 크므로 가끔씩 측정하는 몇 번의 안압 측정만으로는 녹내장 진단을 놓칠 수도 있다.
<b>포도막염에 의한 녹내장 (uveitic glaucoma)</b> 은 일반적으로 안염증이 있을 때에는 방수의 생산이 줄어 안압이 하강하지만 방수 유출률이 저하된 상태에서는 방수의 생산이 줄어도 안압 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 안염증이 방수의 생산과 유출 두 곳에 모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안압이 높을 때와 낮을 때의 안압 변동차가 상당히 크므로 가끔씩 측정하는 몇 번의 안압 측정만으로는 녹내장 진단을 놓칠 수도 있다.
== 역학 ==
== 역학 ==
어떤 종류의 안염증에서도 안압 상승은 나타날 수 있지만, 급성보다는 만성 염증 때 더 잘 나타나며 대체적으로 포도막염 환자의 약 10%에서 안압 상승이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어떤 종류의 안염증에서도 안압 상승은 나타날 수 있지만, 급성보다는 만성 염증 때 더 잘 나타나며 대체적으로 포도막염 환자의 약 10%에서 안압 상승이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7번째 줄: 7번째 줄:
== 레이저 및 수술 치료 ==
== 레이저 및 수술 치료 ==
[[아르곤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은 급성 염증이 발생한 경우에는 효과가 없으나 염증이 소실됐거나 염증 후에 생긴 녹내장에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급성 염증 때에는 수술을 피해야 하지만 여과 수술이 필요할 경우는 수술 전에 스테로이드의 점안이나 전신 투여로 염증을 최소한 줄여야 한다. 수술 성공률을 높이기 위하여 [[5-fluorouracil]]이나 [[mitomycin C]] 등을 [[섬유주 절제술]]에 병용하기도 하며 [[방수 유출 장치]] 수술을 시행할 수도 있다. 섬모체 파괴술도 이용될 수 있는데, 수술 자체가 염증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점과 안염증에 의해 섬모체 기능 이상이 이미 존재할 수 있으므로
[[아르곤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은 급성 염증이 발생한 경우에는 효과가 없으나 염증이 소실됐거나 염증 후에 생긴 녹내장에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급성 염증 때에는 수술을 피해야 하지만 여과 수술이 필요할 경우는 수술 전에 스테로이드의 점안이나 전신 투여로 염증을 최소한 줄여야 한다. 수술 성공률을 높이기 위하여 [[5-fluorouracil]]이나 [[mitomycin C]] 등을 [[섬유주 절제술]]에 병용하기도 하며 [[방수 유출 장치]] 수술을 시행할 수도 있다. 섬모체 파괴술도 이용될 수 있는데, 수술 자체가 염증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점과 안염증에 의해 섬모체 기능 이상이 이미 존재할 수 있으므로
{{참고|녹내장}}

2020년 6월 22일 (월) 00:21 판

포도막염에 의한 녹내장 (uveitic glaucoma) 은 일반적으로 안염증이 있을 때에는 방수의 생산이 줄어 안압이 하강하지만 방수 유출률이 저하된 상태에서는 방수의 생산이 줄어도 안압 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 안염증이 방수의 생산과 유출 두 곳에 모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안압이 높을 때와 낮을 때의 안압 변동차가 상당히 크므로 가끔씩 측정하는 몇 번의 안압 측정만으로는 녹내장 진단을 놓칠 수도 있다.

역학

어떤 종류의 안염증에서도 안압 상승은 나타날 수 있지만, 급성보다는 만성 염증 때 더 잘 나타나며 대체적으로 포도막염 환자의 약 10%에서 안압 상승이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발생 기전

  • 개방각 기전 : 방수의 점도 증가, 염즈 세포나 그 잔유물로 인한 방수 유출로 장애, 섬유주의 부종 및 기능 장애, 방수 유출로의 반흔 형성, 전방각의 각피화된 상피 형성, 상공막 정맥압 상승, 스테로이드 치료의 영향 등
  • 폐쇄각 기전 : 수정체-홍채 격막의 전방 이동, 동공 차단, 주변 홍채앞 유착 형성, 신생혈관 형성 등

레이저 및 수술 치료

아르곤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은 급성 염증이 발생한 경우에는 효과가 없으나 염증이 소실됐거나 염증 후에 생긴 녹내장에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급성 염증 때에는 수술을 피해야 하지만 여과 수술이 필요할 경우는 수술 전에 스테로이드의 점안이나 전신 투여로 염증을 최소한 줄여야 한다. 수술 성공률을 높이기 위하여 5-fluorouracil이나 mitomycin C 등을 섬유주 절제술에 병용하기도 하며 방수 유출 장치 수술을 시행할 수도 있다. 섬모체 파괴술도 이용될 수 있는데, 수술 자체가 염증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점과 안염증에 의해 섬모체 기능 이상이 이미 존재할 수 있으므로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