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인성 진균 안내염: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내인성 진균 안내염 (endogenous fungal endophthalmitis) " == 원인 == * Candida 종 : 가장 흔한 원인으로 단세포 형태의 효모이며 발...)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내인성 진균 안내염 (endogenous fungal endophthalmitis) | '''내인성 진균 안내염 (endogenous fungal endophthalmitis)'''{{망막}} | ||
== 원인 == | == 원인 == | ||
* [[칸디다 안내염|Candida]] 종 : 가장 흔한 원인으로 단세포 형태의 효모이며 발아로 증식하고, 집락을 형성하면 특징적으로 부드럽고 습윤한 크림색을 띠는 경계가 분명한 형태로 보인다. | * [[칸디다 안내염|Candida]] 종 : 가장 흔한 원인으로 단세포 형태의 효모이며 발아로 증식하고, 집락을 형성하면 특징적으로 부드럽고 습윤한 크림색을 띠는 경계가 분명한 형태로 보인다. | ||
10번째 줄: | 9번째 줄: | ||
== 예후 및 합병증 == | == 예후 및 합병증 == | ||
건강한 사람에게 발병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심각한 안내 염증으로 시력 예후가 좋지 않다. | 건강한 사람에게 발병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심각한 안내 염증으로 시력 예후가 좋지 않다. | ||
{{참고}} |
2021년 7월 15일 (목) 00:22 기준 최신판
내인성 진균 안내염 (endogenous fungal endophthalmitis)[1]
원인
- Candida 종 : 가장 흔한 원인으로 단세포 형태의 효모이며 발아로 증식하고, 집락을 형성하면 특징적으로 부드럽고 습윤한 크림색을 띠는 경계가 분명한 형태로 보인다.
- Aspergillus 종 : 두 번째로 흔한 원인으로 균사를 가진 다세포성 진균으로 균사가 분지되어 증식한다. 집락은 솜털과 같은 형태로 관찰된다.
위험 인자
여러가지 치료로 인해 면역이 저하된 환자, 장기 이식 환자들이 증가할 뿐 아니라, 이러한 질환에 광범위 항생제를 사용하여 내인성 진균 안내염이 증가하고 있다. 이외에도 정맥주사 마약의 남용, AIDS 환자의 증가도 그 원인으로 생각된다. 한 보고에서 19례를 분석한 결과 52.5%는 당뇨병, 36.8%는 면역억제제 사용, 3*6%는 악성 종양을 앓고 있었다.
임상 소견
원인균이 혈액을 통하여 전파되므로 포도막이나 망막에 염증이 발생하고, 차츰 눈 안쪽으로 퍼져 유리체, 전방에 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 Candida 안내염은 간혹 유리체염으로 시작하는 경우도 있다.
예후 및 합병증
건강한 사람에게 발병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심각한 안내 염증으로 시력 예후가 좋지 않다.
참고
- ↑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