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모양 위축: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지도모양 위축 (geographic atrophy; GA)'''{{망막}} 은 [[나이 관련 황반변성]]의 위축 형태 중 마지막 단계이며, 망막 색소상피의 저색소 침착 또는 탈색소, 또는 망막 색소상피가 없는 부위가 원형 또는 타원형의 분명한 경계를 가지고 이곳을 통해 맥락막 혈관들이 잘 보이며 그 직경이 최소 175㎛인 병변으로 정의된다. 이외에도 다양한 직경이 제안되었으나, 많은 연구들에서 175~350㎛ 사이의 직경을 가지는 영역으로 정의하는 것이 신뢰성이 있다고 받아들여지고 있다. | ||
== 검사 및 진단 == | == 검사 및 진단 == | ||
* FA : 소실되거나 위축된 망막 색소상피를 통해 배경 맥락막 형광이 쉽게 투과되어 <span style='color:blue;'>초기부터 밝은 과형광</span>을 나타내며, 흔히 이 부분을 지나는 맥락막 혈관들이 같이 보이게 된다. 촬영 후기에는 과형광 정도가 약해질 수 있으나, 어떤 경우는 지속되기도 한다. | * FA : 소실되거나 위축된 망막 색소상피를 통해 배경 맥락막 형광이 쉽게 투과되어 <span style='color:blue;'>초기부터 밝은 과형광</span>을 나타내며, 흔히 이 부분을 지나는 맥락막 혈관들이 같이 보이게 된다. 촬영 후기에는 과형광 정도가 약해질 수 있으나, 어떤 경우는 지속되기도 한다. |
2021년 10월 3일 (일) 01:24 판
지도모양 위축 (geographic atrophy; GA)[1] 은 나이 관련 황반변성의 위축 형태 중 마지막 단계이며, 망막 색소상피의 저색소 침착 또는 탈색소, 또는 망막 색소상피가 없는 부위가 원형 또는 타원형의 분명한 경계를 가지고 이곳을 통해 맥락막 혈관들이 잘 보이며 그 직경이 최소 175㎛인 병변으로 정의된다. 이외에도 다양한 직경이 제안되었으나, 많은 연구들에서 175~350㎛ 사이의 직경을 가지는 영역으로 정의하는 것이 신뢰성이 있다고 받아들여지고 있다.
검사 및 진단
- FA : 소실되거나 위축된 망막 색소상피를 통해 배경 맥락막 형광이 쉽게 투과되어 초기부터 밝은 과형광을 나타내며, 흔히 이 부분을 지나는 맥락막 혈관들이 같이 보이게 된다. 촬영 후기에는 과형광 정도가 약해질 수 있으나, 어떤 경우는 지속되기도 한다.
- 안저 자가 형광 : 경계가 명확하고, 저형광을 보이는 부분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망막 색소상피의 소실과 함께 lipofuscin 축적이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정형광
예후 및 합병증
진행 속도와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드루젠의 숫자, 분포, 퇴행 여부이며, 또한 위축 병변의 초기 크기, 초기 위축의 범위, 반대 눈의 지도모양 위축의 진행 정도이다. 시력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들에서는 지도모양 위축이 시작되고 법적 실명에 이르기까지 평균 9년 정도가 걸리며, 또 다른 연구에서는 위축이 처음 중심와를 침범한 후 5년이 지나서 시력이 20/200으로 떨어졌고 주시점은 드루젠과 관련된 집단에서 더 일찍 잃었다 보고하였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지도모양 위축의 진행은 어느 한 방향으로 확장되는 평균 속도가 1년에 139㎛였으며, 매 1년마다 이환된 눈의 약 8%가 의미 있는 시력 상실(20/50 이상에서 20/100 이하)을 보였다고 보고하였다.
참고
- ↑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