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신경 종양: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분류)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원발 시신경 종양의 조직학적 특성 역시 말초신경 종양보다 뇌종양과 더 비슷하다. | 원발 시신경 종양의 조직학적 특성 역시 말초신경 종양보다 뇌종양과 더 비슷하다. | ||
== 분류 == | == 분류 == | ||
세포의 분화도에 의한 WHO 분류에 따라 세분화하는데, 이는 예후를 예측하고 치료 방침을 계획하는 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대개의 경우 등급 1, 2는 양성으로 분류하고, 3, 4는 악성으로 분류하는데, [[시신경 교종]] 과 [[시신경 수막종]]은 양성에 속한다. | 세포의 분화도에 의한 WHO 분류에 따라 세분화하는데, 이는 예후를 예측하고 치료 방침을 계획하는 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대개의 경우 등급 1, 2는 양성으로 분류하고, 3, 4는 악성으로 분류하는데, [[시신경 교종]]과 [[시신경 수막종]]은 양성에 속한다. | ||
{{참고}} | {{참고}} |
2022년 6월 5일 (일) 15:53 판
시신경 종양 (optic nerve tumors)[1]
역학
전체 안와 종양의 10% 미만을 차지하는 드문 질환이다.
분류
원발 종양
시신경 교종과 수막종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전이 종양
조직학적 특징
원발 시신경 종양의 조직학적 특성 역시 말초신경 종양보다 뇌종양과 더 비슷하다.
분류
세포의 분화도에 의한 WHO 분류에 따라 세분화하는데, 이는 예후를 예측하고 치료 방침을 계획하는 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대개의 경우 등급 1, 2는 양성으로 분류하고, 3, 4는 악성으로 분류하는데, 시신경 교종과 시신경 수막종은 양성에 속한다.
참고
- ↑ 신경안과학 제 4판, 2022 (장봉린 외, 한국 신경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