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특발성 포도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원칙
잔글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특발성 포도막염 (idiopathic uveitis)'''{{각막}}{{망막}}
'''특발성 포도막염 (idiopathic uveitis)'''{{각막}}{{망막}} 은 원인을 알지 못하는 안내 염증을 일컫는다.
== 역학 ==
[[앞포도막염]] 환자의 절반이 특발성으로 분류되었고, 뒤포도막염의 경우에는 더 많다.
== 분류 ==
== 분류 ==
* 해부학적 위치 : [[앞포도막염|앞]], [[중간 포도막염|중간]], 뒤, 전체
* 해부학적 위치 : [[앞포도막염|앞]], [[중간 포도막염|중간]], 뒤, 전체
9번째 줄: 11번째 줄:
* 인구학적 특성 : 나이, 성별, 인종
* 인구학적 특성 : 나이, 성별, 인종
* 관련 특징 : 관절 호소 증상, 폐 호소 증상, 피부 발진, 위장관
* 관련 특징 : 관절 호소 증상, 폐 호소 증상, 피부 발진, 위장관
== 병력 ==
포도막염 평가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자세한 과거력이며, 환자 병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증상 기술이다, 환자가 심한 통증, 충혈 및 눈부심을 호소한다면 진단은 급성 홍채섬모체염 종류 중 하나로 좁혀지고, 주 증상이 검은색 부유물이라면 [[중간 포도막염]]일 가능성이 높다. 황반을 침범한 망막염의 경우에 환자는 주로 변시증을 동반한 무통의 중심 시력 감소를 호소하지만 황반을 침범하지 않은 맥락막염은 주로 무증상이다, 포도막염 환자라면 누구나 [[낭포 황반부종|CME]]이 생길 수 있는데 이러한 환자는 낮 동안 변동성의 흐려 보임 증상이 있는 게 특징적이어서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으나 매체 혼탁으로 인해 검사를 통해 발견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포도막염 증상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염증의 정도를 평가하고 시력 이상의 특징을 기술하는 것이다.
병력 중 중요한 다른 요건은 가족력, 환자의 연령, 성별, 인종, 개인 병력, 전신 질환, 눈 병력, 현 병력 등이다.
== 검사 ==
== 검사 ==
시력과 펜라이트 검사는 많은 정보를 제공해준다. 교정 시력뿐 아니라 소공 시력 또한 유용한데, 소공 시력으로 저하가 있다면 황반 질환일 가능성이 많다. 포도막염 환자에서는 [[낭포 황반부종]] (CME) 이 가장 혼한 황반 질환이므로, 소공 시력으로 시력 감소를 보이면 [[낭포 황반부종|CME]]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펜라이트 검사로는 구심 동공운동 장애를 알아낼 수 있는데 이는 [[베체트병]]에서 특히 흔히 발생하는 페쇄성 혈관염으로 인해 생긴다,또한 펜라이트 검사로 급성 홍채섬모체염의 특징인 섬모체 충혈 및 동공 축동도 알아낼 수 있다.
시력과 펜라이트 검사는 많은 정보를 제공해준다. 교정 시력뿐 아니라 소공 시력 또한 유용한데, 소공 시력으로 저하가 있다면 황반 질환일 가능성이 많다. 포도막염 환자에서는 [[낭포 황반부종|CME]]가장 혼한 황반 질환이므로, 소공 시력으로 시력 감소를 보이면 [[낭포 황반부종|CME]]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펜라이트 검사로는 구심 동공운동 장애를 알아낼 수 있는데 이는 [[베체트병]]에서 특히 흔히 발생하는 페쇄성 혈관염으로 인해 생긴다,또한 펜라이트 검사로 급성 홍채섬모체염의 특징인 섬모체 충혈 및 동공 축동도 알아낼 수 있다.


눈꺼풀 및 결막을 세극등으로 검사하면 육아종 및 결절을 알아낼 수 있다. 그러나 전안부 검사에서 질적으로 가장 중요한 부분은 각막 검사이다, 각막 침착물의 특징 및 위치름 검사해야 하는데, 육아종성 각막 침착물은 크고 번들거리며 혼히 융합해 있다. 이러한 육아종성 각막 침착물은 단독 소견으로 [[사르코이드증]]과 같은 육아종성 포도막염을 진단 내릴 수는 없지만 진단 가능성을 높여주는 소견이다. 대부분의 포도막염에서 각막 침착물은 아래 1/3 각막 내피세포 쪽에 집중되어 있지만, 산재해서 방사상을 띤다면 [[거대세포 바이러스 망막염]], [[폭스 홍채 이색 섬모체염]],단순포진 각막포도막염 중 하나로 감별 진단할 수 있다. 각막 지각도 감소되어 있다면 단순포진 각막포도막염으로 진단할 수 있다.
눈꺼풀 및 결막을 세극등으로 검사하면 육아종 및 결절을 알아낼 수 있다. 그러나 전안부 검사에서 질적으로 가장 중요한 부분은 각막 검사이다, 각막 침착물의 특징 및 위치름 검사해야 하는데, 육아종성 각막 침착물은 크고 번들거리며 혼히 융합해 있다. 이러한 육아종성 각막 침착물은 단독 소견으로 [[사르코이드증]]과 같은 육아종성 포도막염을 진단 내릴 수는 없지만 진단 가능성을 높여주는 소견이다. 대부분의 포도막염에서 각막 침착물은 아래 1/3 각막 내피세포 쪽에 집중되어 있지만, 산재해서 방사상을 띤다면 [[거대세포 바이러스 망막염]], [[폭스 홍채 이색 섬모체염]],단순포진 각막포도막염 중 하나로 감별 진단할 수 있다. 각막 지각도 감소되어 있다면 단순포진 각막포도막염으로 진단할 수 있다.
34번째 줄: 41번째 줄:
|4+||>50||심함 (섬유소, 삼출 방수)
|4+||>50||심함 (섬유소, 삼출 방수)
|}
|}
안압 측정도 포도막염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단서가 될 수 있다. 대부분의 포도막염은 급성기에는 안압을 감소시키지만 단순포진 바이러스, 대상포진 바이러스, [[포스너-쉴로스만 증후군|녹내장 섬모체 염발작]], 톡소포자충증, [[사르코이드증]] 에서는 급성기에도 흔히 안압이 상승한다. 물론 자주 발병하면 어떠한 질환이라도 안압올 상승시킬 수 있는데, 이는 염증 혹은 색소 세포에 의한 섬유주 폐쇄, 홍채뒤 유착으로 인한 홍채 팽륜, 홍채앞 유착, 혹은 섬모체의 전방 이동 때문이다.
간접 검안경 검사 및 안저 렌즈를 통해 유리체와 안저를 검사해야 한다. 직접 및 간접 검안경으로 유리체 염증을 정량화할 수 있으나 간접 검안경 검사가 더 흔히 사용되므로 이를 근거로 한 분류를 사용한다.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유리체 혼탁의 정도
|-
!등급||상태
|-
|0||염증 없음
|-
|1||망막 혈관 및 시신경이 경하게 흐림
|-
|2||중등도로 흐림
|-
|3||현저히 흐림
|-
|4||시신경 유두가 보이지 않음
|}
안저 검사에서 중요한 점은 염증이 일차적으로 망막에 있는지 맥락막에 있는지, 국소적인지 산발적인지, 현관염올 동반했는지를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황반 상태를 검사해 [[낭포 황반부종|CME]]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 치료 ==
== 치료 ==
40번째 줄: 66번째 줄:


=== 원칙 ===
=== 원칙 ===
치료는 급성 및 만성으로 나뉠 수 있다.
* 급성 치료 : 급성 전안부 홍채섬모체염과 같은 갑작스럽고 심한 포도막염 발병을 치료하는 것으로, 신속하고 강력하게 시행하며 용량을 천천히 줄여나간다. 일반적으로 안내 투과도가 뛰어난 점안 프레드니솔론 아세트산염 1%를 사용하는데, 처음 며칠간은 매 시간 점안하다가 몇 주에 걸쳐 천천히 용량을 줄여나간다.
* 만성 치료 : 지속적으로 경도의 염증이 존재할 때 생길 수 있는 안내 염증 결과물 (주로 [[낭포 황반부종|CME]]) 의 장기간 유병률 및 정도를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데, 주로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NSAIDs) 를 지속적 용량 (하루 3~4회) 으로 사용한다. 또 다른 치료 방법으로는 테논낭하 주사, 유리체내 주입술 및 경구 복용법이 있다. 전신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국소적 약물 전달 장치가 발달되어 왔는데 최근 안내로 지속적으로 방출되는 기구의 임상 시험이 진행되고 있으며 전신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더욱 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f>Jaffe GJ et al; Fluocinolone Acetonide Uveitis Study Group. Fluocinolone acetonide implant (Retisert) for noninfectious posterior uveitis : 34w results of a multicenter randomized clinical study. ''Ophthalmology''. 2006 Jun;113(6):1020-7. [https://pubmed.ncbi.nlm.nih.gov/16690128/ 연결]</ref><ref>Kane FE et al. Iluvien : a new sustained delivery technology for posterior eye disease. ''Expert Opin Drug Deliv''. 2008 Sep;5(9):1039-46. [https://pubmed.ncbi.nlm.nih.gov/18754752/ 연결]</ref>.
홍채뒤 유착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면 단기간 작용 산동제/조절 마비제 (호마트로핀 5%, 하루 2~3회) 를 사용해 동공이 지속적으로 움지일 수 있도록 한다. 이미 홍채뒤 유착이 형성되었다면 페닐에프린 2.5~10% (고혈압 및 심장 질환 환자에서는 유의해 사용해야 함) 및 아트로핀 1%를 자주 점안한다. 만약 이러한 점안 치료로 충분치 않다면 페닐에프린과 아트로핀을 면 거즈에 적셔서 위쪽 혹 은 아래쪽 결막낭에 넣어둘 수 있다. 또한 동공을 열리게 하기 위해 유착의 정점부에서 결막하로 주사할 수 있다<ref>Smith RE et al. Uveitis : a clinical approach to diagnosis and management. 2nd ed. Baltimore: Williams & Wilkins; 1989</ref>.
홍채뒤 유착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면 단기간 작용 산동제/조절 마비제 (호마트로핀 5%, 하루 2~3회) 를 사용해 동공이 지속적으로 움지일 수 있도록 한다. 이미 홍채뒤 유착이 형성되었다면 페닐에프린 2.5~10% (고혈압 및 심장 질환 환자에서는 유의해 사용해야 함) 및 아트로핀 1%를 자주 점안한다. 만약 이러한 점안 치료로 충분치 않다면 페닐에프린과 아트로핀을 면 거즈에 적셔서 위쪽 혹 은 아래쪽 결막낭에 넣어둘 수 있다. 또한 동공을 열리게 하기 위해 유착의 정점부에서 결막하로 주사할 수 있다<ref>Smith RE et al. Uveitis : a clinical approach to diagnosis and management. 2nd ed. Baltimore: Williams & Wilkins; 1989</ref>.


56번째 줄: 86번째 줄:
* COX-1 : 정상 생리 기능 (예 : 위세포 보호) 에 필요한 기초 PG 합성에 관여한다.
* COX-1 : 정상 생리 기능 (예 : 위세포 보호) 에 필요한 기초 PG 합성에 관여한다.
* COX-2 는 염중이 있는 경우 나타나는 효소로 PG 생성을 중가시킨다.
* COX-2 는 염중이 있는 경우 나타나는 효소로 PG 생성을 중가시킨다.
눈에 COX-2가 생성되면 다양한 염중 상태에서 PG를 중가시키므로 COX-2 억제제를 다양한 형태의 포도막염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ref>Masferrer JL et al. COX-2 inhibitors : a new approach to the therapy of ocular inflammation. ''Surv Ophthalmol''. 1997 Feb;41 Suppl 2:S35-40. [https://pubmed.ncbi.nlm.nih.gov/9154274/ 연결]</ref>. 현재 COX-2 억제제는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데
눈에 COX-2가 생성되면 다양한 염증 상태에서 PG를 중가시키므로 COX-2 억제제를 다양한 형태의 포도막염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ref>Masferrer JL et al. COX-2 inhibitors : a new approach to the therapy of ocular inflammation. ''Surv Ophthalmol''. 1997 Feb;41 Suppl 2:S35-40. [https://pubmed.ncbi.nlm.nih.gov/9154274/ 연결]</ref>. 현재 COX-2 억제제는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데
* celccoxib (Celebrex)
* celccoxib (Celebrex)
* valdecoxib (Bextra)
* valdecoxib (Bext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