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망막 중심정맥 폐쇄: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치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6번째 줄: 36번째 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망막내 출혈은 다양한 정도의 이차적 [[망막 색소상피|RPE]] 변화를 동반하며 감소하거나 완전히 사라질 수 있다. 출혈의 감소를 위해 걸리는 시간은 다양하며 혈관 폐쇄로 인한 출혈량에 따라 다르다. CRVO의 자연경과에서 황반부종은 망막 내 출혈이 흡수되더라도 만성적으로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망막전막 및 중심와 색소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ref>Hayreh SS et al. Natural history of visual outcome in CRVO. ''Ophthalmology''. 2011 Jan;118(1):119-133.e1-2. [https://pubmed.ncbi.nlm.nih.gov/20723991/ 연결]</ref>. 맥락막 순환을 통해 우회되는 시신경섬모체 문합 혈관 (optociliary shunt vessels) 이 시신경유두에 형성될 수 있다. 시신경유두 및 주변부 신생혈관이 망막 허혈에 대한 이차 반응으로 발생할 수 있다. 시신경유두 신생혈관을 구성하는 혈관은 일반적으로 시신경섬모체 문합 혈관보다 직경이 작고 그물과 유사한 혈관 네트워크로 분지되며 FA에서 누출을 보인다. 섬유혈관 증식으로 진행하여 유리체 출혈 또는 견인 망막박리를 초래할수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망막내 출혈은 다양한 정도의 이차적 [[망막 색소상피|RPE]] 변화를 동반하며 감소하거나 완전히 사라질 수 있다. 출혈의 감소를 위해 걸리는 시간은 다양하며 혈관 폐쇄로 인한 출혈량에 따라 다르다. CRVO의 자연경과에서 황반부종은 망막 내 출혈이 흡수되더라도 만성적으로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망막전막 및 중심와 색소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ref>Hayreh SS et al. Natural history of visual outcome in CRVO. ''Ophthalmology''. 2011 Jan;118(1):119-133.e1-2. [https://pubmed.ncbi.nlm.nih.gov/20723991/ 연결]</ref>. 맥락막 순환을 통해 우회되는 시신경섬모체 문합 혈관 (optociliary shunt vessels) 이 시신경유두에 형성될 수 있다. 시신경유두 및 주변부 신생혈관이 망막 허혈에 대한 이차 반응으로 발생할 수 있다. 시신경유두 신생혈관을 구성하는 혈관은 일반적으로 시신경섬모체 문합 혈관보다 직경이 작고 그물과 유사한 혈관 네트워크로 분지되며 FA에서 누출을 보인다. 섬유혈관 증식으로 진행하여 유리체 출혈 또는 견인 망막박리를 초래할수 있다.
=== 전안부 소견 ===
=== 전안부 소견 ===
홍채와 앞방각 신생혈관 (NVA) 이 포함될 수 있다. 홍채 신생혈관 (NVI) 은 일반적으로 동공 경계에서 시작하지만 홍채 표면을 가로질러 확장될 수 있다. 앞방각 신생혈관은 [[전방각경 검사]]를 통해 관찰되며 허혈성 CRVO가 있는 눈의 6~12%에서 NVI 없이 발생할 수 있다<ref name=r11>Clarkson J et al. Baseline and early natural history report. The CVOS. ''Arch Ophthalmol''. 1993 Aug;111(8):1087-95. [https://pubmed.ncbi.nlm.nih.gov/7688950/ 연결]</ref><ref name=r10 /><ref>Browning DJ et al. The risk of missing angle NV by omitting screening gonioscopy in acute CRVO. ''Ophthalmology''. 1998 May;105(5):776-84. [https://pubmed.ncbi.nlm.nih.gov/9593375/ 연결]</ref>. CVOS는 의미 있는 전안부 신생혈관으로 두 시각 범위의 NVI 또는 NVA를 지표로 이용하였는데, 이는 FA에서 비관류 영역이 10~29 시신경 유두 면적인 경우 16%에서 관찰되었으며, 75 시신경 유두 면적 이상인 경우 52%에서 관찰되었다<ref name=r10 />. 또한 나쁜 초진 시력은 NVI와 NVA의 발생과 연관이 있었는데 20/40이상인 경우 5%, 20/50~20/200인 경우 14.8%, 20/200 미만인 경우 30.8%에서 보고되었다<ref name=r10 />. 장기간 지속되는 NVA는 주변 홍채앞 유착 (PAS) 으로 인한 이차 폐쇄각 녹내장을 유발할 수 있다.
홍채와 앞방각 신생혈관 (NVA) 이 포함될 수 있다. [[홍채 신생혈관]] (NVI) 은 일반적으로 동공 경계에서 시작하지만 홍채 표면을 가로질러 확장될 수 있다. 앞방각 신생혈관은 [[전방각경 검사]]를 통해 관찰되며 허혈성 CRVO가 있는 눈의 6~12%에서 NVI 없이 발생할 수 있다<ref name=r11>Clarkson J et al. Baseline and early natural history report. The CVOS. ''Arch Ophthalmol''. 1993 Aug;111(8):1087-95. [https://pubmed.ncbi.nlm.nih.gov/7688950/ 연결]</ref><ref name=r10 /><ref>Browning DJ et al. The risk of missing angle NV by omitting screening gonioscopy in acute CRVO. ''Ophthalmology''. 1998 May;105(5):776-84. [https://pubmed.ncbi.nlm.nih.gov/9593375/ 연결]</ref>. CVOS는 의미 있는 전안부 신생혈관으로 두 시각 범위의 NVI 또는 NVA를 지표로 이용하였는데, 이는 FA에서 비관류 영역이 10~29 시신경 유두 면적인 경우 16%에서 관찰되었으며, 75 시신경 유두 면적 이상인 경우 52%에서 관찰되었다<ref name=r10 />. 또한 나쁜 초진 시력은 NVI와 NVA의 발생과 연관이 있었는데 20/40이상인 경우 5%, 20/50~20/200인 경우 14.8%, 20/200 미만인 경우 30.8%에서 보고되었다<ref name=r10 />. 장기간 지속되는 NVA는 주변 홍채앞 유착 (PAS) 으로 인한 이차 폐쇄각 녹내장을 유발할 수 있다.
 
== 검사 ==
초진 시 CRVO의 유병 기간과 황반 부종과 망막 허혈의 정도에 대한 세심한 평가가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하다. 먼저 심혈관 질환들과 당뇨, 혈전증 또는 과응고 상태에 대한 환자 및 가족 병력을 확인해야 한다.
=== 눈 검사 ===
양안 모두 시행하며 시력과 동공 반응 검사, 안압 검사를 포함한다. [[홍채 신생혈관|NVI]]을 감지하기 위해 무산동 세극등 검사를 시행해야 하며,[[전방각 신생혈관]] (NVA) 은 최대 12%의 눈에 [[홍채 신생혈관|NVI]] 없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무산동 전방각경 검사는 [[전방각 신생혈관|NVA]]의 존재 또는 주변부 홍채앞 유착에서 폐쇄각 녹내장의 증거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필요하다.13
=== 안저 ===
안저 검사는 [[안허혈 증후군]] (OIS) 과 관련된 망막 출혈로부터 CRVO를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안허혈 증후군|OIS]]에서 출혈은 주로 이측 중간 주변부에 국한된다<ref>Kearns TP. Differential diagnosis of CRVO. ''Ophthalmology''. 1983 May;90(5):475-80. [https://pubmed.ncbi.nlm.nih.gov/6877779/ 연결]</ref>.
=== [[빛간섭 단층 촬영|OCT]] ===
[[빛간섭 단층 촬영|OCT]]는 황반 부종의 진단과 치료 후 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데 유용하다. 또한 망막내액의 분포 양상, 망막 내 고반사점 동반 여부, 허혈에 따른 망막내 특정 층의 손상 및 시세포층의 손상 정도는 치료 반응 및 시력 예후를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ref>Scott IU et al; SCORE Study Investigator Group. SCORE Study report 1 : baseline associations btw CRT and VA in patients w RVO. ''Ophthalmology''. 2009 Mar;116(3):504-12. [https://pubmed.ncbi.nlm.nih.gov/19167078/ 연결]</ref>.
===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 ===
망막 관류 상태를 파악하는 데 중요하며 추후 합병증 발생 위험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준다. 동맥 기는 정상이거나 약간 지연을 보이는 반면 동정맥 순환 시간은 상당한 지연을 보이는데 20초 이상 지연되거나 CVOS에서 정의한 비관류형 폐쇄를 보이는 경우 [[홍채 신생혈관|NVI]]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ref name=r29>A RCT of early panretinal photocoagulation for ischemic CRVO. The CVOS Group N report. ''Ophthalmology''. 1995 Oct;102(10):1434-44. [https://pubmed.ncbi.nlm.nih.gov/9097789/ 연결]</ref>.
 
=== [[빛간섭 단층 혈관조영술|OCTA]] ===
최근에 활용이 증가하고 있는데 조 영제 없이 모세혈관 비관류와 혈관 손상, 미세동맥류 등 정맥 폐쇄와 관련된 후극부의 미세 혈관 변화를 망막 층별로 자세히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시야가 좁고 누출을 감지할 수 없으며 다양한 허상 (artifact) 이 존재하는 제한점이 있다<ref>Tsai G et al. OCTA in Eyes with RVO. ''J Ophthalmic Vis Res''. 2018 Jul-Sep;13(3):315-332. [https://pubmed.ncbi.nlm.nih.gov/30090189/ 연결]</ref>.
=== 전신 검사 ===
이미 잘 알려진 전신 위험 인자가 있는 60세 이상의 환자는 내과적 전신 검사가 필요하지 않다. 하지만 전신 위험 요인이 없는 젊은 환자와 양안 [[망막 정맥 폐쇄]]를 가진 경우, 갑작스러운 모세혈관 비관류의 악화를 보이는 경우, 전신 혈전 질환의 병력 또는 혈전증 가족력을 가지거나 혈액 또는 류마티스 질환을 암시하는 증상이 있는 경우 전신 검사를 필요로 한다.


== 경과 ==
== 경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