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방각 절개술: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새 문서: 전방각 절개술 (goniotomy) 은 "전방각을 관찰할 수 있는 전방각경이 입상적으로 이용되면서 Barkan에 의해 1938년에 처음 시도되었다. == 병태... |
잔글 →적응증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전방각 절개술 (goniotomy) 은 | '''전방각 절개술 (goniotomy)'''{{녹내장}} 은 전방각을 관찰할 수 있는 전방각경이 입상적으로 이용되면서 Barkan에 의해 1938년에 처음 시도되었다. | ||
== 병태 생리 == | == 병태 생리 == | ||
아직 선천녹내장에서 전방각의 해부학적 특징이 잘 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전방각 절개술이 어떻게 안압을 하강시키는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방수 유출을 막는 조직을 제거하여 방수가 쉴렘관으로 용이하게 유출되게 하여 안압을 조절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 아직 선천녹내장에서 전방각의 해부학적 특징이 잘 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전방각 절개술이 어떻게 안압을 하강시키는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방수 유출을 막는 조직을 제거하여 방수가 쉴렘관으로 용이하게 유출되게 하여 안압을 조절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선천 녹내장에서의 성공율은 80% 정도로 보고되고 있으며 처음 발견된 나이가 성공율에 영향을 많이 미쳐 생후 한달 후 부터 1년 이내에 발견되어 수술한 경우 예후가 가장 좋다고 알려져 있다. | 선천 녹내장에서의 성공율은 80% 정도로 보고되고 있으며 처음 발견된 나이가 성공율에 영향을 많이 미쳐 생후 한달 후 부터 1년 이내에 발견되어 수술한 경우 예후가 가장 좋다고 알려져 있다. | ||
== 장점 == | == 장점 == | ||
* 매체가 투명하다면 전방각 절개술이 결막 반흔을 남기지 않아서 나중에 여과 수술이 필요하게 될 때 도움이 된다. | |||
* 더 신속한 수술 기법이라 마취 시간이 짧다. | * 더 신속한 수술 기법이라 마취 시간이 짧다. | ||
== 적응증 == | == 적응증 == | ||
* [[선천 녹내장]] : 각막이 혼탁하여 전방각을 관찰하지 못할 때는 시술할 수가 없다. | |||
* 모체 풍진 증후군에 동반된 녹내장 | * 모체 풍진 증후군에 동반된 녹내장 | ||
* 선천 백내장 수술 후 동반된 녹내장 | * 선천 백내장 수술 후 동반된 녹내장 | ||
* 만성 앞포도막염에 의한 녹내장 | * 만성 앞포도막염에 의한 녹내장 | ||
== 비적응증 == | == 비적응증 == | ||
화염상 모반, 신경섬유종증, Lowe 증후군, [[무홍채증]], Axenfeld 증후군, 홍채-섬유주 발육 이상 등에 동반된 녹내장에는 효과가 떨어지므로 시술을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 화염상 모반, 신경섬유종증, Lowe 증후군, [[무홍채증]], Axenfeld 증후군, 홍채-섬유주 발육 이상 등에 동반된 녹내장에는 효과가 떨어지므로 시술을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 ||
| 24번째 줄: | 26번째 줄: | ||
* 전방 출혈 : 거의 대부분에서 나타나지만 일시적이고 대개 수술 후 3일 이내에 흡수된다. 수술 후 2일 내에 더 증가할 수가 있는데 어린아이가 심하게 울어서 혈류의 역류에 의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보호자의 협조가 필요하고 가능한한 근육 주사는 피하는 것이 좋다. | * 전방 출혈 : 거의 대부분에서 나타나지만 일시적이고 대개 수술 후 3일 이내에 흡수된다. 수술 후 2일 내에 더 증가할 수가 있는데 어린아이가 심하게 울어서 혈류의 역류에 의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보호자의 협조가 필요하고 가능한한 근육 주사는 피하는 것이 좋다. | ||
* 이외에도 홍채 해리, 섬모체 해리, 주변 홍채앞 유착, 이차 백내장 등이 발생할 수 있다. | * 이외에도 홍채 해리, 섬모체 해리, 주변 홍채앞 유착, 이차 백내장 등이 발생할 수 있다. | ||
{{참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