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선 눈떨림: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b>회선 눈떨림 (torsional nystagmus)</b> 은 눈의 전후방축을 중심으로 한 회선 운동이다. 대부분 <span style='color:blue;'>측방을 볼 때 눈떨림이 심...)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회선 눈떨림 (torsional nystagmus)'''{{사시}} 은 눈의 전후방축을 중심으로 한 회선 운동이다. 대부분 <span style='color:blue;'>측방을 볼 때 눈떨림이 심해진다</span>. | |||
== 원인 == | == 원인 == | ||
전정 기관 이상으로 인한 눈떨림은 수직 또는 수평 눈떨림에 회선이 더해져 나타나는데, 같은쪽 전후 반고리관 병변으로 나타날 수 있다 (외측 연수 증후군). | 전정 기관 이상으로 인한 눈떨림은 수직 또는 수평 눈떨림에 회선이 더해져 나타나는데, 같은쪽 전후 반고리관 병변으로 나타날 수 있다 (외측 연수 증후군).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외측 연수 병변은 고속기가 병변 반대쪽으로 향하며, 병변쪽을 위로 가도록 환자를 위치시키면 이석 자극에 의해 눈떨림이 심해진다. 즉, 병변이 왼쪽에 있을 때 머리를 오른쪽으로 기울이면 눈떨림이 심해진다. | 외측 연수 병변은 고속기가 병변 반대쪽으로 향하며, 병변쪽을 위로 가도록 환자를 위치시키면 이석 자극에 의해 눈떨림이 심해진다. 즉, 병변이 왼쪽에 있을 때 머리를 오른쪽으로 기울이면 눈떨림이 심해진다. | ||
{{참고}} | |||
{{눈떨림}} |
2022년 10월 26일 (수) 13:49 기준 최신판
회선 눈떨림 (torsional nystagmus)[1] 은 눈의 전후방축을 중심으로 한 회선 운동이다. 대부분 측방을 볼 때 눈떨림이 심해진다.
원인
전정 기관 이상으로 인한 눈떨림은 수직 또는 수평 눈떨림에 회선이 더해져 나타나는데, 같은쪽 전후 반고리관 병변으로 나타날 수 있다 (외측 연수 증후군).
임상 소견
외측 연수 병변은 고속기가 병변 반대쪽으로 향하며, 병변쪽을 위로 가도록 환자를 위치시키면 이석 자극에 의해 눈떨림이 심해진다. 즉, 병변이 왼쪽에 있을 때 머리를 오른쪽으로 기울이면 눈떨림이 심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