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색각 검사: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기타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b>색각 검사 (color vision test)</b>
<b>색각 검사 (color vision test)</b>
== [[거짓 동색표]] (pseudoisochromatic color plates) ==
== [[거짓 동색표]] ==
거짓 동색표란 동일 색점으로 구성된 글씨나 숫자와 같은 형태가 혼동을 유발할 수 있는 비슷한 색점 (pseudoisochromatic confusion colors) 과 비색점 (achromatic contrast) 으로 무작위 구성된 배경 위에 나열되어 있는 검사표를 말한다. 정상적인 색각을 가진 경우에는 쉽게 그 형태를 알아볼 수 있으나 색각 이상자의 경우에는 주위 배경과 혼동되어 형태를 알아보지 못하거나 다른 형태로 착각하게 된다.
거짓 동색표 (pseudoisochromatic color plates) 동일 색점으로 구성된 글씨나 숫자와 같은 형태가 혼동을 유발할 수 있는 비슷한 색점 (pseudoisochromatic confusion colors) 과 비색점 (achromatic contrast) 으로 무작위 구성된 배경 위에 나열되어 있는 검사표를 말한다. 정상적인 색각을 가진 경우에는 쉽게 그 형태를 알아볼 수 있으나 색각 이상자의 경우에는 주위 배경과 혼동되어 형태를 알아보지 못하거나 다른 형태로 착각하게 된다.
* 장점 : 휴대할 수 있고, 검사가 간편하며, 시간이 짧게 걸리므로 많은 사람을 단시간 내에 검사할 수 있고 정상인과 선천 색각 이상자를 쉽게 가려낼 수 있다.
* 장점 : 휴대할 수 있고, 검사가 간편하며, 시간이 짧게 걸리므로 많은 사람을 단시간 내에 검사할 수 있고 정상인과 선천 색각 이상자를 쉽게 가려낼 수 있다.
* 단점 : 색각 이상의 분류 및 정도를 결정하기에는 불충분하다. 전반적인 공간 해상력이 떨어지는 질환인 망막 변성이나 시신경 질환에서는 색각은 정상이라도 양성으로 결과가 나올 수 있으며, 주위 광원 및 검사 거리, 각도 등에도 영향을 받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 단점 : 색각 이상의 분류 및 정도를 결정하기에는 불충분하다. 전반적인 공간 해상력이 떨어지는 질환인 망막 변성이나 시신경 질환에서는 색각은 정상이라도 양성으로 결과가 나올 수 있으며, 주위 광원 및 검사 거리, 각도 등에도 영향을 받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10번째 줄: 10번째 줄:
=== HRR (Hardy-Rand-Rittler) 색각 검사표 ===
=== HRR (Hardy-Rand-Rittler) 색각 검사표 ===
[[하디-랜드-리틀러 색각 검사]] 참고
[[하디-랜드-리틀러 색각 검사]] 참고
== 색각 배열 검사 (color arrangement test) ==
== 색각 배열 검사 (color arrangement test) ==
피검자로 하여금 일련의 순서로 배열된 색패 (color cap) 들을 무작위로 섞은 후 다시 원래의 순서대로 배열하게 함으로써 정상 배열 순서와의 차이를 알아내어 색각 이상을 검사하는 방법이다.
피검자로 하여금 일련의 순서로 배열된 색패 (color cap) 들을 무작위로 섞은 후 다시 원래의 순서대로 배열하게 함으로써 정상 배열 순서와의 차이를 알아내어 색각 이상을 검사하는 방법이다.
30번째 줄: 31번째 줄:
=== 캠브리지 색각 검사 (CCT) ===
=== 캠브리지 색각 검사 (CCT) ===
CCT (Cambridge color test) 는 보정된 브라운관 모니터에서 무채색 배경에 란돌트 고리를 사용하며, C자의 색도는 CIE 1931 색도도에서 적색각 이상, 녹색각 이상, 청색각 이상의 선을 따라 변하게 된다. 검사 결과는 CIE 색도도상에 식별 타원 (discrimination ellipses) 으로 표시되는데, 색각 이상자의 경우에는 적색각 이상, 녹색각 이상, 또는 청색각 이상을 나타내는 선을 따라 식별 타원이 길어지므로 이를 이용하여 모든 색각 이상의 판정에 사용할 수 있다.
CCT (Cambridge color test) 는 보정된 브라운관 모니터에서 무채색 배경에 란돌트 고리를 사용하며, C자의 색도는 CIE 1931 색도도에서 적색각 이상, 녹색각 이상, 청색각 이상의 선을 따라 변하게 된다. 검사 결과는 CIE 색도도상에 식별 타원 (discrimination ellipses) 으로 표시되는데, 색각 이상자의 경우에는 적색각 이상, 녹색각 이상, 또는 청색각 이상을 나타내는 선을 따라 식별 타원이 길어지므로 이를 이용하여 모든 색각 이상의 판정에 사용할 수 있다.
=== 원뿔세포 대비 검사 ===
=== 포털 색 정렬 검사 (PCST) ===
PCST (Portal color sort test) 는 FM 100 색상 검사를 기반으로 하지만, 36개의 색패만 사용하므로 검사 시간이 크게 단축되었다. 피검사자가 기준 색과 유사한 순서대로 색패를 정렬하면 컴퓨터가 이를 자동으로 평가한다. PCST는 [[선천 색각 이상]]에 대한 검사에서 FM 100 색상 검사와 상관 관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서한 컴퓨터 색각 검사 (Seohan computerized hue test) ===
=== 서한 컴퓨터 색각 검사 (Seohan computerized hue test) ===
[[판스워스-문셀 100 색조 검사]]를 기본으로 하여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되어 있으나 아직 널리 사용되고 있지는 않다. 기존의 검사보다 빠르고 간편하면서 민감한 색각 검사를 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남에 따른 색패의 변색 등의 염려를 근본적으로 제거하였다.
[[판스워스-문셀 100 색조 검사]]를 기본으로 하여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되어 있으나 아직 널리 사용되고 있지는 않다. 기존의 검사보다 빠르고 간편하면서 민감한 색각 검사를 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남에 따른 색패의 변색 등의 염려를 근본적으로 제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