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나이관련 황반변성/습성: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치료
잔글 Smile님이 습성 나이관련 황반변성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나이관련 황반변성/습성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습성 나이관련 황반변성 (wAMD)'''{{망막}}
'''습성 나이관련 황반변성 (wAMD)'''{{망막}} 은 [[나이관련 황반변성]]의 후기 형태 중 [[맥락막 신생혈관]]이 동반된 경우를 말한다.
== 병태생리==
== 병태생리==
=== 혈관 신생 ===
=== 혈관 신생 ===
23번째 줄: 23번째 줄:
== 치료 ==
== 치료 ==
=== 레이저 광응고 ===
=== 레이저 광응고 ===
처음에 맥락막 신생혈관막을 파괴하여 신생혈관의 진행을 늦추기 위해서 고안되었다. MPS 연구에서 중심와밑 CNV에서 레이저 광응고의 효과를 확인하였으나, 치료받은 환자의 약 82%에서 20/200 이하의 시력 저하가 발생하였다. 최근에는 anti-VEGF 안내주입술 및 PDT 치료가 보편화되면서 중심와밑 CNV에서 레이저 광응고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중심와밖 CNV에서는 유의하게 시력 예후가 좋았고 심한 시력 상실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어서 여전히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26-31
처음에 맥락막 신생혈관막을 파괴하여 신생혈관의 진행을 늦추기 위해서 고안되었다. MPS 연구에서 중심와밑 CNV에서 레이저 광응고의 효과를 확인하였으나, 치료받은 환자의 약 82%에서 20/200 이하의 시력 저하가 발생하였다. 최근에는 anti-VEGF 안내주입술 및 PDT 치료가 보편화되면서 중심와밑 CNV에서 레이저 광응고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중심와밖 CNV에서는 유의하게 시력 예후가 좋았고 심한 시력 상실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어서 여전히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ref>Laser photocoagulation of subfoveal NV lesions of AMD. Updated findings from 2 clinical trials. MPS Group. ''Arch Ophthalmol''. 1993 Sep;111(9):1200-9. [https://pubmed.ncbi.nlm.nih.gov/7689827/ 연결]</ref>. 26-30
 
=== 광역학 치료 (PDT) ===
=== 광역학 치료 (PDT) ===
광감작물질인 verteporfin (Visudyne) 을 이용한 광역학치료는 기존의 레이저 치료로는 불가능하였던 AMD와 그 외 여러 원인으로 인한 중심와밑 CNV를 폐쇄시키는 데 anti-VEGF 주사 치료 시기 이전에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광감작물질인 verteporfin (Visudyne) 을 이용한 광역학치료는 기존의 레이저 치료로는 불가능하였던 AMD와 그 외 여러 원인으로 인한 중심와밑 CNV를 폐쇄시키는 데 anti-VEGF 주사 치료 시기 이전에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치료의 효과는 CNV의 형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치료 효과 및 안정성에 대하여 Treatment of AMD with Photodynamic Therapy (TAP) 와 Verteporfin in Photodynamic Therapy (VIP)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TAP 연구에서는 전형적 (classic) CNV를 보이는 중심와밑 병변이 있는 환자에서 2년째 치료군의 53%, 대조군의 38%에서 15글자 이하의 시력 소실이 관찰되었다. 2년째 15글자 이상의 호전은 치료군의 9%에서 만 관찰되었다. 32-34 VIP 연구는 잠복 (occult) 중심와밑 CNV에서 최근 병의 진행이 관찰되었던 경우를 대상으로 하였고, 2년째 대조군의 32%에 비해서 치료군의 45%에서 14글자 이하의 시력 소실이 있었다. 또한 15글자 이상의 호전은 치료군의 5%에서 관찰되었다 35 현재 대부분의 wAMD의 치료는 anti-VEGF 주사 치료이며, PDT 치료는 [[결절 맥락막 혈관병증|PCV]]에서 anti-VEGF 주사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병합 치료로 사용되고 있다.
치료의 효과는 CNV의 형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치료 효과 및 안정성에 대하여 Treatment of AMD with Photodynamic Therapy (TAP) 와 Verteporfin in Photodynamic Therapy (VIP)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TAP 연구에서는 전형적 (classic) CNV를 보이는 중심와밑 병변이 있는 환자에서 2년째 치료군의 53%, 대조군의 38%에서 15글자 이하의 시력 소실이 관찰되었다. 2년째 15글자 이상의 호전은 치료군의 9%에서 만 관찰되었다<ref>Bressler NM; TAP Study Group. Photodynamic therapy of subfoveal CNV in AMD with verteporfin : 2-year results of 2 randomized clinical trials - TAP report 2. ''Arch Ophthalmol''. 2001 Feb;119(2):198-207. [https://pubmed.ncbi.nlm.nih.gov/11176980/ 연결]</ref>. 33-34 VIP 연구는 잠복 (occult) 중심와밑 CNV에서 최근 병의 진행이 관찰되었던 경우를 대상으로 하였고, 2년째 대조군의 32%에 비해서 치료군의 45%에서 14글자 이하의 시력 소실이 있었다. 또한 15글자 이상의 호전은 치료군의 5%에서 관찰되었다<ref>VIP Study Group. Verteporfin therapy of subfoveal CNV in AMD : 2-year results of a randomized clinical trial including lesions with occult with no classic CNV - VIP report 2. ''AJO''. 2001 May;131(5):541-60. [https://pubmed.ncbi.nlm.nih.gov/11336929/ 연결]</ref>. 현재 대부분의 wAMD의 치료는 anti-VEGF 주사 치료이며, PDT 치료는 [[결절 맥락막 혈관병증|PCV]]에서 anti-VEGF 주사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병합 치료로 사용되고 있다.
=== 항 혈관내피 성장인자 ===
[[항 혈관내피 성장인자|anti-VEGF]] 참고
 
=== 병합 치료 ===
=== 병합 치료 ===
병합 치료의 편리는 HIV와 같은 전염병 치료와 암치료에서 사용하는 방식과 유사하다. 예를 들면 anti-VEGF 제제와 화학 요법 혹은 방사선 요법을 조합하여 종양치료에 사용 시 큰 항종양 효과 나타낸다. 황반변성 치료에서도 다양한 작용 메커니즘을 서로 결합하면 이와 같은 상승 효과를 기대할수 있다는 희망에서 연구가 시작되었다.
병합 치료의 편리는 HIV와 같은 전염병 치료와 암치료에서 사용하는 방식과 유사하다. 예를 들면 anti-VEGF 제제와 화학 요법 혹은 방사선 요법을 조합하여 종양치료에 사용 시 큰 항종양 효과 나타낸다. 황반변성 치료에서도 다양한 작용 메커니즘을 서로 결합하면 이와 같은 상승 효과를 기대할수 있다는 희망에서 연구가 시작되었다.
35번째 줄: 39번째 줄:
==== X-82 ====
==== X-82 ====
X-82 (Tyrogenex, West Palm Beach, FL, USA) 는 이중 kinase inhibitor 로 VEGF 수용체와 PDGF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작은 분자이다. 종양학 분야에서 이 화합물은 안전성을 토대로 경구 복용 가능한 차세대 tyrosine kinase로 주목받고 있다71.
X-82 (Tyrogenex, West Palm Beach, FL, USA) 는 이중 kinase inhibitor 로 VEGF 수용체와 PDGF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작은 분자이다. 종양학 분야에서 이 화합물은 안전성을 토대로 경구 복용 가능한 차세대 tyrosine kinase로 주목받고 있다71.
=== 수술 요법 ===
중심와밑 [[맥락막 신생혈관]] (CNV) 의 수술적 제거, 중심와밑 출혈의 수술적 제거, 황반 전위술, 망막색소상피 이식술과 같은 다양한 수술적 접근 방법들이 wAMD를 치료하기 위해서 시도되었다<ref>de Juan E Jr et al. Vitreous surgery for hemorrhagic and fibrous complications of AMD. ''AJO''. 1988 Jan 15;105(1):25-9.[https://pubmed.ncbi.nlm.nih.gov/3337190/ 연결]</ref><ref>Bressler NM et al; Submacular Surgery Trials Pilot Study Investigators. Submacular surgery trials randomized pilot trial of laser photocoagulation vs surgery for recurrent CNV secondary to AMD : I. Ophthalmic outcomes submacular surgery trials pilot study report number 1. ''AJO''. 2000 Oct;130(4):387-407. [https://pubmed.ncbi.nlm.nih.gov/11024412/ 연결]</ref>. CNV에 의한 황반하 출혈이 최근에 생긴 경우 SF<sub>6</sub> 또는 C<sub>3</sub>F<sub>8</sub> 가스를 이용하여 황반하 출혈의 위치를 이동시킴오로써 시력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ref>Hesse L et al. Management of acute submacular hemorrhage using recombinant tPA and gas.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1999 Apr;237(4):273-7. [https://pubmed.ncbi.nlm.nih.gov/10208258/ 연결]</ref><ref>Hassan AS et al. Management of submacular hemorrhage with intravitreous tPA injection and pneumatic displacement. ''Ophthalmology''. 1999 Oct;106(10):1900-6; discussion 1906-7. [https://pubmed.ncbi.nlm.nih.gov/10519583/ 연결]</ref>. 장기 경과 관찰에서 CNV의 수술적 제거는 높은 재발률과 술 후 위축성 반흔의 증가를 야기하며, 황반 전위술과 망막 색소상피 이식술은 술 후 높은 비율의 [[증식 유리체 망막병증]]이 발생한다는 한계를 보였다. 또한 현재 anti-VEGF 주사 치료의 치료 결과가 월등하므로 수술 요법은 매우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