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증식 당뇨 망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 (→안저 소견)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 [[경성 삼출물]] | * [[경성 삼출물]] | ||
* [[면화반]] | * [[면화반]] | ||
* [[망막내 미세혈관 이상]] | |||
* 정맥 모양 변화 : [[염주 정맥]], [[정맥 고리]], 정맥의 국소 협착이나 초형성 (sheathing) 등의 이상이 관찰될 수 있다. |
2020년 5월 6일 (수) 07:34 판
비증식성 당뇨 망막병증 (non-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NPDR)
분류
ETDRS 에서는 아래의 두 경우를 합쳐서 '비증식성 당뇨 망막병증'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 배경 당뇨 망막병증 (background diabetic retinopathy; BDR) : 미세혈관류, 망막 출혈, 경성 삼출물, 황반 부종 등이 관찰될 때
- 전증식 당뇨 망막병증 (pre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PPDR) : 혈관 폐쇄가 더 진행되어 세동맥까지 포함된 경우로, 증식 당뇨 망막병증으로의 진행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
안저 소견
- 미세혈관류
- 망막 출혈 : 약한 모세혈관이나 얇은 벽을 갖는 미세 혈관류에서 생기며 망막내에서의 위치에 따라여러 형태를 보이는데, 조직이 조밀한 심부에서의 출혈은 점 (dot), 반점 (blot) 형태를, 표재성인 신경 섬유층에서의 출혈은 선상(splinter), 화염상(flame-shaped) 형태를 보인다. 그러나 이런 형태에 관계 없이 미세혈관류와 함께 한 가지 안저소견으로 취급하여 단계 평가하며 예후적 의의가 크다. 특히 어두운 색조를 띤, 여러 개의 큰 반점 출혈은 세동맥 폐쇄 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심한 허혈과 신생 혈관의 발생 위험성이 높은 것을 보여주는 소견이 된다.
- 경성 삼출물
- 면화반
- 망막내 미세혈관 이상
- 정맥 모양 변화 : 염주 정맥, 정맥 고리, 정맥의 국소 협착이나 초형성 (sheathing) 등의 이상이 관찰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