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독: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 (→‎치료)
 
23번째 줄: 23번째 줄:
매독 환자의 치료는 가장 최근의 치료법을 참고하여야 하며, 감염학 전문의의 도움을 받는 것이 유용하다. 매독이 초기에 발견되어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받는다면 대부분은 치료된다. 초기에 진단되지 않고 부적절하게 치료받는다면 1/3 환자에서 3차 매독으로 진행하여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하며 생명에 위협을 줄 수도 있다.
매독 환자의 치료는 가장 최근의 치료법을 참고하여야 하며, 감염학 전문의의 도움을 받는 것이 유용하다. 매독이 초기에 발견되어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받는다면 대부분은 치료된다. 초기에 진단되지 않고 부적절하게 치료받는다면 1/3 환자에서 3차 매독으로 진행하여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하며 생명에 위협을 줄 수도 있다.
=== 페니실린 G ===
=== 페니실린 G ===
매독의 모든 단계에서 선호되며 용량, 주입 경로, 치료 기간, 치료 약제의 선택은 매독의 단계와 발현된 임상양상에 따라 결정된다. 2.4백만 단위 (million units, MU) benzathine penicillin G의 일회 근육 주사가 1,2기 및 초기의 잠복 매독 환장세ㅓ 추천된다. 만기 잠복 매독에서 감염 기간을 알 수 없을 때, 신경 매독이 아닌 3기 매독의 경우 총 7.2 MU benzathine penicillin G가 주사되며 2.4 MU의 근육 주사를 1주 간격으로 3회에 걸쳐 투여한다. 신경 매독의 치료는 수용성 페니실린 G를 하루에 18~24 MU 정맥 주사로 투여하는 것이다. 4시간마다 3~4 MU를 10~14일에 걸쳐 투여한다. 뇌척수액 검사는 매 6개월마다 시행한다.
매독의 모든 단계에서 선호되며 용량, 주입 경로, 치료 기간, 치료 약제의 선택은 매독의 단계와 발현된 임상양상에 따라 결정된다. 2.4백만 단위 (million units, MU) benzathine penicillin G의 일회 근육 주사가 1,2기 및 초기의 잠복 매독 환자에서 추천된다. 만기 잠복 매독에서 감염 기간을 알 수 없을 때, 신경 매독이 아닌 3기 매독의 경우 총 7.2 MU benzathine penicillin G가 주사되며 2.4 MU의 근육 주사를 1주 간격으로 3회에 걸쳐 투여한다. 신경 매독의 치료는 수용성 페니실린 G를 하루에 18~24 MU 정맥 주사로 투여하는 것이다. 4시간마다 3~4 MU를 10~14일에 걸쳐 투여한다. 뇌척수액 검사는 매 6개월마다 시행한다.
{{참고}}
{{참고}}

2022년 7월 7일 (목) 08:17 기준 최신판

매독 (syphilis)[1]Treponema pallidum 이라는 나선형 세균 (spirochete) 에 의해 감염되는 성매개 질환으로 전신 장기에 침범하고 눈 매독을 일으킬 수 있다[2].

감염

성 접촉이 주된 일차 감염 경로로 감염 환자와 성 접촉을 가진 사람의 50~75%가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임신 초기 (10주경) 태반을 통해 산모에서 태아로도 전염이 가능하며 이를 선천 매독이라 부른다.

T. pallidum 병원체가 점막을 뚫고 들어간 후 혈관과 림프관을 따라서 이동하게 되고, 침범된 장기의 혈관 주위로 만성 육아종성 염증이 관찰될 수 있는데 이러한 염증과 면역 반응이 매독의 특징적인 조직 파괴를 발생시킨다. 병원체의 대부분은 옵소닌화와 대식세포의 탐식 작용에 의해 제거되지만 면역 반응에도 불구하고 병원체의 파종이 일어날 수 있으며 치료를 하지 않는다면 병원체는 체내에 수십년간 머물며 전염과 장기 손상을 일으킨다[3].

역학

1999년 한 보고에 의하면 전세계적으로 1,200만명이 감염되었고 그 중 90%가 개발도상국가에서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4]. 서구 사회에서 1980년대에 항생제의 보급으로 감소하였다가 2000년대 들어 많은 국가에서 동성애자들 사이에서 감염률이 증가하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영국에서는 1999~2008년 사이 매독 발병률이 1,032% 증가하였으며, 2007년에는 3,762명의 새 환자가 발생하였다3. 또 다른 한 보고에서는 2004년 한 해 동안 매독 눈병증이 지난 10년 동안 평균치보다 2배 증가했다고 하였다[5]. 미국의 한 보고에서도 1,2차 매독은 2005년에서 2013년까지 10만명 당 2.1→5.3명 으로 2배 이상 증가하였다[6].

임상 소견

1기

감염자와 성 접촉 3~90일 후 접촉 부위에 굳은 하감 (chancre) 이라는 피부 병변이 나타난다[7]. 드물게 다발성으로 나타날 수도 있지만 대개는 0.3~3cm 크기로 한 개의 단단하면서 통증이 없는 피부 궤양이다. 감염부 근처의 림프절이 커진다. 치료 없이도 3~6주 후 병변은 자연 소실된다.

2기

일차 감염 후 4~10주경에 매독균의 전신 혈행성 전파와 함께 나타난다. 임상 양상은 매우 다양해서, 손, 발바닥을 포함한 사지와 몸통에 붉은색의 가렵지 않은 발진이 나타나고 농포로 바뀌기도 한다. 점막에는 편평 콘딜로마 (condyloma latum) 를 형성하며 이런 병변들은 모두 감염성이 있다. 다른 증상으로는 발열, 권태감, 체중 감소, 탈모, 두통 등이 있다. 급성 증상들은 3~6주 후 사라진다.

잠복

잠복 매독 (latent syphilis) 이란 병의 증상이나 임상 양상 없이 혈청학적으로만 발견될 때를 말한다. 2기 매독 후 1년 이내를 조기, 1년 이후를 만기 잠복 매독으로 다시 구별한다. 조기 잠복 매독일 경우에는 증상이 다시 나타날 수 있다. 만기 잠복 매독은 무증상이며 전염성이 없다[8].

3기

3기 매독 혹은 만기 매독은 첫 감염 후 대략 3~15년 지나서 나타난다.

  • 양성 3기 매독 : 고무종 (gumma) 매독이라고도 부르며, 초기 감염으로부터 평균 15년 후에 발생한다. 다양한크기의 부드러운 염증성 구형 종괴로 피부, 뼈, 간을 잘 침범한다.
  • 신경 매독 : 중추신경계를 침범한 매독이다. 처음에는 무증상 혹은 매독성 뇌수막염의 양상을 보이고 진행하면서 전신 마비나 척수 매독 (tabes dorsalis) 등으로 나타난다. 아르길 로버트슨 동공은 전형적인 신경 매독에서의 동공 반응으로 동공 크기가 비대칭이며 불규칙적이고 축동되어 잇으며 동공 대광-근접 반사 해리가 발생한다. 안구 운동 신경과 시신경은 초기 신경 매독 단계에서 영향을 잘 받는다.
  • 심혈관 매독 : 매독이 심혈관을 침범하는 경우로, 가장 흔한 합병증은 매독성 대동맥염으로 동맥류를 형성하게 된다.

치료

매독 환자의 치료는 가장 최근의 치료법을 참고하여야 하며, 감염학 전문의의 도움을 받는 것이 유용하다. 매독이 초기에 발견되어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받는다면 대부분은 치료된다. 초기에 진단되지 않고 부적절하게 치료받는다면 1/3 환자에서 3차 매독으로 진행하여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하며 생명에 위협을 줄 수도 있다.

페니실린 G

매독의 모든 단계에서 선호되며 용량, 주입 경로, 치료 기간, 치료 약제의 선택은 매독의 단계와 발현된 임상양상에 따라 결정된다. 2.4백만 단위 (million units, MU) benzathine penicillin G의 일회 근육 주사가 1,2기 및 초기의 잠복 매독 환자에서 추천된다. 만기 잠복 매독에서 감염 기간을 알 수 없을 때, 신경 매독이 아닌 3기 매독의 경우 총 7.2 MU benzathine penicillin G가 주사되며 2.4 MU의 근육 주사를 1주 간격으로 3회에 걸쳐 투여한다. 신경 매독의 치료는 수용성 페니실린 G를 하루에 18~24 MU 정맥 주사로 투여하는 것이다. 4시간마다 3~4 MU를 10~14일에 걸쳐 투여한다. 뇌척수액 검사는 매 6개월마다 시행한다.

참고

  1.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
  2. Peeling RW et al. The pathogenesis of syphilis : the Great Mimicker, revisited. J Pathol. 2006 Jan;208(2):224-32. 연결
  3. Peeling RW et al. The pathogenesis of syphilis : the Great Mimicker, revisited. J Pathol. 2006 Jan;208(2):224-32. 연결
  4. Stamm LV. Global challenge of antibiotic-resistant T. pallidum. Antimicrob Agents Chemother. 2010 Feb;54(2):583-9. 연결
  5. Doris JP et al. Ocular syphilis : the new epidemic. Eye (Lond). 2006 Jun;20(6):703-5. d연결
  6. Patton ME et al;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Primary and secondary syphilis : United States, 2005-2013. MMWR Morb Mortal Wkly Rep. 2014 May 9;63(18):402-6. 연결
  7. Kent ME et al. Reexamining syphilis : an update on epidemiology, clinical manifestations, and management. Ann Pharmacother. 2008 Feb;42(2):226-36. 연결
  8. Bhatti MT. Optic neuropathy from viruses and spirochetes. Int Ophthalmol Clin. 2007 Fall;47(4):37-66, ix.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