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 유두 결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 →임상 소견 |
잔글 →임상 소견 |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기계적인 외상과 콘택트렌즈 표면의 침착물, 환경적 요소 등의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이 관련 있다. 외상은 일반적으로 소프트 콘택트렌즈, RGP 콘택트렌즈, 하드 콘택트렌즈 사용과 관련이 있으나, 이외에도 녹내장의 여과포, 증가된 상피하 칼슘 플라크, 윤부 유피낭종, 노출된 각막 및 결막 봉합사, 안내 삽입물, 공막 누름조각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기계적인 외상과 콘택트렌즈 표면의 침착물, 환경적 요소 등의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이 관련 있다. 외상은 일반적으로 소프트 콘택트렌즈, RGP 콘택트렌즈, 하드 콘택트렌즈 사용과 관련이 있으나, 이외에도 녹내장의 여과포, 증가된 상피하 칼슘 플라크, 윤부 유피낭종, 노출된 각막 및 결막 봉합사, 안내 삽입물, 공막 누름조각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발병 초기에는 경한 불편감, 경도의 점액 분비물, 때로는 약간의 가려움이 나타난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질환 초기에 인지하지 못하고 치료받지 않으면 점차 증상이 심해지면서 진행하게 된다. 렌즈 표면의 이물로 인해 시력 저하, 안쪽 눈구석에 점액 축적, 렌즈 착용 시 지속적인 이물감이 나타나며, 렌즈의 착용 시간이 줄어든다. | |||
초기에 윗눈꺼풀판 결막에 경미한 충혈이 생기고 결막의 경미한 두꺼워짐이 동반된다. 결막의 투명성은 초기 에는 유지되나 점차 질환이 진행하면 염증세포 침윤이 증가하고 결막이 두꺼워져 혼탁이 뚜렷하게 관찰된다. 작은 점액 가닥도 초기에 흔히 발견되는데, 상태가 악화됨에 따라 흰 점액 분비물이 점점 증가하고 코쪽, 아래쪽 결막 구석에 침착된다. | |||
지속적인 콘택트렌즈의 착용 또는 원인이 되는 물질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결막 충혈과 염증이 증가한다. 또한 결막 혼탁이 심해지고 눈꺼풀판 결막 유두가 커지게 된다. 유두는 대개 0.6~1.75mm 범주에 속하나 보통은 0.3mm 이하인데, GPC에서는 직경이 0.3mm 이상이다. | |||
유두의 모양과 위치는 다양하다. 윗눈꺼풀판 결막에 중등도의 유두가 균일하게 생길 수도 있고, 불규칙하게 생길 수도 있으며, 큰 자갈 모양 거대 유두가 생길 수도 있다. 윗눈꺼풀판을 검사할 때는 눈꺼풀판의 가장 바깥쪽, 안쪽, 위쪽을 놓치지 않도록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윗눈꺼풀판을 세 구역으로 나눌 수 있는데 | |||
* 구역 1 : 눈꺼풀판의 가장 위쪽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하는 부분 | |||
* 구역 3 : 눈꺼풀판 위쪽 가장자리에서 먼 쪽,즉 눈꺼풀 테에 인접한 부분 | |||
이다. [[소프트 콘택트렌즈|SCL]]와 연관된 GPC에서 초기에는 구역 1에서 보이다가 서서히 구역 2, 3으로 진행하게 된다,RGP 콘택트렌즈에서는 반대로 진행한다. 유두가 구역 3, 즉 눈꺼풀테에 인접하거나 눈꺼풀의 먼 쪽 절반에서 전형적으로 관찰된다. 이 유두는 보통 수가 적고 분화구 모양 또는 편평한 모양을 띤다. | |||
== 치료 == | == 치료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