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거대 유두 결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역학
잔글 원인
4번째 줄: 4번째 줄:


== 원인 ==
== 원인 ==
기계적인 외상과 콘택트렌즈 표면의 침착물, 환경적 요소 등의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이 관련 있다. 외상은 일반적으로 소프트 콘택트렌즈, RGP 콘택트렌즈, 하드 콘택트렌즈 사용과 관련이 있으나, 이외에도 녹내장의 여과포, 증가된 상피하 칼슘 플라크, 윤부 유피낭종, 노출된 각막 및 결막 봉합사, 안내 삽입물, 공막 누름조각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기계적인 외상과 콘택트렌즈 표면의 침착물, 환경적 요소 등의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이 관련 있다. 외상은 일반적으로 소프트 콘택트렌즈, RGP 콘택트렌즈, 하드 콘택트렌즈 사용과 관련이 있으나, 이외에도 녹내장의 여과포, 증가된 상피하 칼슘 플라크, 윤부 유피낭종, 노출된 각막 및 결막 봉합사, 안내 삽입물, 공막 누름조각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소프트 콘택트렌즈|SCL]] 및 [[하드 콘택트렌즈|HCL]] 표면에 침착물이 축적되어 GPC가 발생하거나 증상이 악화되기도 한다.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발병 초기에는 경한 불편감, 경도의 점액 분비물, 때로는 약간의 가려움이 나타난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질환 초기에 인지하지 못하고 치료받지 않으면 점차 증상이 심해지면서 진행하게 된다. 렌즈 표면의 이물로 인해 시력 저하, 안쪽 눈구석에 점액 축적, 렌즈 착용 시 지속적인 이물감이 나타나며, 렌즈의 착용 시간이 줄어든다.
발병 초기에는 경한 불편감, 경도의 점액 분비물, 때로는 약간의 가려움이 나타난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질환 초기에 인지하지 못하고 치료받지 않으면 점차 증상이 심해지면서 진행하게 된다. 렌즈 표면의 이물로 인해 시력 저하, 안쪽 눈구석에 점액 축적, 렌즈 착용 시 지속적인 이물감이 나타나며, 렌즈의 착용 시간이 줄어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