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성안: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b>건성안 (안구 건조증; dry eye, keratoconjunctivitis sicca; KCS)</b> 은 가장 흔한 안과 질환 중 하나로, 수많은 연구 결과와 진단 방법 및 치료 지침...)
 
잔글편집 요약 없음
6번째 줄: 6번째 줄:
* [[눈물막 증발 건성안]]
* [[눈물막 증발 건성안]]
임상적으로 건성안을 명확히 둘 중 하나로 구분 짓기는 어려우며, 두 기전 모두 결국 공통된 기전을 통하여 dysfunctional tear syndrome 으로 이어지게 되지만, 이러한 분류는 건성안의 원인을 분류하는 데 유용하다.
임상적으로 건성안을 명확히 둘 중 하나로 구분 짓기는 어려우며, 두 기전 모두 결국 공통된 기전을 통하여 dysfunctional tear syndrome 으로 이어지게 되지만, 이러한 분류는 건성안의 원인을 분류하는 데 유용하다.
== 치료 ==
=== 눈물 대치-윤활제 ===
=== 기존 눈물의 보존 ===
* [[눈물점 폐쇄]]
* 습식 안경
* 콘택트 렌즈
=== 눈꺼풀 봉합 ===
=== 눈물 분비 자극-분비 촉진제 ===
=== 눈물 대체제 ===
* [[자가 혈청]]
* 침샘 자가 이식
=== 염증 치료 ===
* [[시클로스포린]]
* 스테로이드
* [[테트라사이클린]]
* 필수 지방산
* 국소 비타민 A
* 점액 용해제
== 치료 지침 ==

2020년 3월 22일 (일) 06:55 판

건성안 (안구 건조증; dry eye, keratoconjunctivitis sicca; KCS) 은 가장 흔한 안과 질환 중 하나로, 수많은 연구 결과와 진단 방법 및 치료 지침이 알려져 있다. 2007년 DEWS (International Dry Eye Workshop) 연구에 따르면, 건성안을 '눈의 불편감과 시력 장애를 일으키며 눈물막을 불안정하게 하여 안구 표면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눈물과 안구 표면의 다인성 질환으로, 눈물막의 오스몰 농도 증가와 안구 표면의 염증을 동반한다.' 라고 정의하고 있다.

역학

미국의 역학 조사에서 전체 인구의 0.4~0.5% 가 임상적으로 건성안이라고 진단되었으며, 여성과 노인에서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분류

임상적으로 건성안을 명확히 둘 중 하나로 구분 짓기는 어려우며, 두 기전 모두 결국 공통된 기전을 통하여 dysfunctional tear syndrome 으로 이어지게 되지만, 이러한 분류는 건성안의 원인을 분류하는 데 유용하다.

치료

눈물 대치-윤활제

기존 눈물의 보존

눈꺼풀 봉합

눈물 분비 자극-분비 촉진제

눈물 대체제

염증 치료

치료 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