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수정체 공식: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 (→‎1세대)
잔글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 종류 ==
== 종류 ==
=== 1세대 ===
=== 1세대 ===
* [[SRK]] ([[L-SRK]])
* [[SRK]] (1980), [[L-SRK]]


=== 2세대 ===
=== 2세대 ===

2022년 8월 31일 (수) 00:44 판

인공수정체 공식 (IOL formulas)[1]

종류

1세대

2세대

3세대

환자의 안구 길이와 각막의 곡률 반경에 기초하여 인공수정체 도수 계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인자인 전방깊이 (pseudophakic ACD) 의 정확한 예측에 초점을 맞추고 연구된 것이다[2]. 전방 깊이는 기존의 초음파 방식으로 측정은 가능하지만, 3세대 회귀 추정 공식에는 유효 렌즈 위치 (effective lens position, ELP) 의 계산에 전방 깊이의 실측치를 사용하지 않고, 각막 곡률치와 안축장의 측정치로부터 추정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3]. ELP를 추정하는 방법은 공식마다 다른 기전을 사용하기에, 이에 따른 술후 굴절 예측값 역시 차이가 발생한다.

  • SRK/T
  • Hoffer Q
  • Holladay 1

4세대

  • Haigis
  • T2
  • Holladay 2
  • Barrett Universal II
  • Olsen

Wang-Koch 보정

인공 지능을 이용한 공식

  • Hill-RBF
  • Kane
  • Ladas

굴절 교정 수술 후

참고

  1. 백내장 4판, 2022 (한국 백내장 굴절 수술 학회, 일조각)
  2. Hoffer KJ. The Hoffer Q formula : a comparison of theoretic and regression formulas. JCRS. 1993 Nov;19(6):700-12. 연결
  3. Olsen T. Calculation of IOL power: a review. Acta Ophthalmol Scand. 2007 Aug;85(5):472-85. 연결
인공수정체 도수 계산 공식
1세대 SRK, L-SRK
2세대 SRK II, Hoffer, Holladay
3세대 SRK/T, Hoffer Q, Holladay 1
4세대 Haigis, T2, Holladay 2, Barrett Universal II, Olsen
인공 지능 Hill-RBF, Kane, Ladas
굴절 교정 수술 후 Shammas-PL, Haigis-L, Barrett True-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