펨브롤리주맙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2월 29일 (금) 14:40 판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펨브롤리주맙 (pembrolizumab)은 면역 관문 억제제 (immune checkpoint inhibitors) 의 한 종류로 진행된 비소세포 폐암 (NSCLC) 및 흑색종에서 항종양 활성을 갖는 단클론 면역글로불린G (immunoglobulin G, IgG) 항체이다.

기전

단클론 IgG 항체는 T세포를 활성화하고 항종양 면역 반응을 강화하는 세포독성 T세포의 programmed death-1 (PD-1) 수용체를 차단한다[1][2].

부작용

면역 관문 억제제의 부작용으로 면역 관련 이상 반응이 전신 어디에나 나타날 수 있는데 이는 자가 면역체계 활성화와 관련되어 발생하는 염증 반응으로서 환자의 70~80% 에서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된다[3].

면역 관문 억제제 사용과 연관된 포도막염의 발생률은 0.3~6% 사이로 알려져 있으며[4], 이 중 보그트-고야나기-하라다 병 (VKH) 증례는 드물게 보고되어 있다. 2015년 이필리무맙 (ipilimumab) 면역요법을 받은 흑색종 환자에서 약물 유발 보크트-고야나기-하라다병 사례가 처음 보고되었고,6 최근에는 니볼루맙(nivolumab) 및 펨브로리주맙 또 는 병합요법 치료 후 유발된 보크트-고야나기-하라다 유사 증후군 사례들이 보고되었다. 7,8 외국에는 펨브로리주맙 사 용 초기에 보크트-고야나기-하라다병이 발생한 연구가 보 고된 바 있고, 국내에서도 박 등이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펨브로리주맙 사용 중기에 유발된 보크트-고야나기-하라다 유사 증후군 1예를 보고하 고자 한다

참고

  1. Gangadhar TC et al. Clinical applications of PD-1-based therapy : a focus on pembrolizumab (MK-3475) in the management of melanoma and other tumor types. Onco Targets Ther. 2015 Apr 22;8:929-37. 연결
  2. Reck M et al; KEYNOTE-024 Investigators. Pembrolizumab vs Chemotherapy for PD-L1-Positive NSCLC. NEJM. 2016 Nov 10;375(19):1823-1833. 연결
  3. Ushio R et al. Nivolumab-induced VKH-like Syndrome and Adrenocortical Insufficiency w Long-term Survival in a Patient w NSCLC. Intern Med. 2021 Nov 15;60(22):3593-3598. 연결
  4. Abdel-Rahman O et al. Immune-related ocular toxicities in solid tumor patients treated w immune checkpoint inhibitors : a systematic review. Expert Rev Anticancer Ther. 2017 Apr;17(4):387-394.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