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T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11월 25일 (목) 15:12 판 (→‎1년 결과)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TVT (Tube Versus Trabeculectomy)[1]

목적

이전에 안내 수술을 받았던 환자에서, 밸브가 없는 튜브 우회 수술과 미토마이신 씨를 이용한 섬유주 절제술의 안정성과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2].

디자인

다기관 (17개) 무작위 임상 연구

연구 대상

이전에 섬유주 절제술, 백내장 수술 또는 둘 다를 받았고, 안약 치료에도 안압이 18~40 mmHg 로 잘 관리되지 않는 18~85세의 녹내장 환자

연구 기간

1999. 10. ~ 2004. 04.

시술

대상 환자들은 무작위로 아래의 시술을 받았다.

  • 350 mm²Baerveldt 녹내장 삽입물 : 107명 107안
  • MMC (0.4mg/ml, 4분) 을 포함한 섬유주 절제술 : 105명 105안

1년 결과

효과[3]

(Baerveldt, 섬유주 절제술 순)

  • 안압 : 12.4±3.9, 12.7±5.8 (P = .73)
  • 사용하는 안약의 수 : 1.3±1.3, 0.5±0.9 (P < .001)
  • 누적 실패 발생률 : 3.9%, 13.5% (P = .017)

첫 1년간 Baerveldt 가 섬유주 절제술에 비해 안압을 잘 유지하고 지속적인 저안압, 재수술을 방지하였다. 두 수술 모두 첫 1년간 비슷한 안압 하강을 보였으나, 섬유주 절제술에서 추가적 안약 사용이 더 적게 필요했다.

합병증[4]

  • 수술 중 합병증 : 7명 (7%), 10명 (10%) (P = .59)
  • 수술 후 합병증 : 36명 (34%), 60명 (57%) (P = .001)
  • 스넬렌 시력표 2줄 이상의 시력 저하 또는 재수술과 관련된 합병증 : 18명 (17%), 28명 (27%) (P = .12)

첫 1년간 많은 수의 합병증이 있었으나 대부분은 자연 치유되었다. 섬유주 절제술에서 Baerveldt에 비해 합병증 발생률이 높았지만, 재수술 그리고/또는 시력 저하를 유발하는 심각한 합병증은 두 수술에서 비슷하게 발생하였다.

3년 결과[5]

참고

  1. 녹내장 개정 7판, 2023 (한국 녹내장 학회, 최신 의학사)
  2. Gedde SJ et al; TVT Study Group. The TVT study : design and baseline characteristics of study patients. AJO. 2005 Aug;140(2):275-87. 연결
  3. Gedde SJ et al. Treatment outcomes in the TVT study after 1 year of FU. AJO. 2007 Jan;143(1):9-22. 연결
  4. Gedde SJ et al. Surgical complications in the TVT Study during the 1st year of follow-up. AJO. 2007 Jan;143(1):23-31. 연결
  5. Gedde SJ et al; TVT Study Group. 3-year follow-up of the TVT study. AJO. 2009 Nov;148(5):670-84.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