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새 문서 목록

새 문서 목록
등록된 사용자 숨기기 | 봇을 숨기기 | 넘겨주기를 보이기

2025년 11월 17일 (월)

2025년 10월 31일 (금)

  • 04:582025년 10월 31일 (금) 04:58 안저 분광기 (역사 | 편집) [561 바이트] 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안저 분광기 (fundus spectrometer)''' 는 작은 망막의 영역 (2˚ 직경) 에서 기원하는 안저 자가 형광 (FAF) 신호를 분석하기 위하여 고안되었다. == 장점 == 수정체가 자가 형광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자가 형광의 절대값을 측정할 수 있고, 그 결과 안저형광이 500~800 nm 사이의 넓은 대역을 걸쳐 방출되며, 특히 중심와와 이측 7˚ 부위에서 510 nm에 최적 자극되어...)
  • 03:302025년 10월 31일 (금) 03:30 라이포푸신 (역사 | 편집) [3,781 바이트] 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라이포푸신 (lipofuscin)''' == 발생 == 망막의 광수용체는 빛과 맥락막의 산소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유리기에 의해 손상받기 쉬운데, 광수용체 외절 원판이 탈락되면 망막 색소상피 (RPE) 가 이를 탐식하고 소화시키게 된 다. 이화 작용의 최종 산물은 새로운 원판을 합성하는 데 재사용되나, 광산화 손상에 의해 발생한 물질은 이화 작용에 참여하는 효소가 인식할...)

2025년 9월 19일 (금)

  • 01:512025년 9월 19일 (금) 01:51 토피도 황반병증 (역사 | 편집) [6,626 바이트] 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토피도 황반병증 (Torpedo maculopathy, TM)'''{{망막}} 은 1992년 Roseman과 Gass<ref>Roseman RL et al. Solitary hypopigmented nevus of the RPE in the macula. ''Arch Ophthalmol''. 1992 Oct;110(10):1358-9. [https://pubmed.ncbi.nlm.nih.gov/1417528/ 연결]</ref>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망막 색소상피 (RPE) 에 드물게 발생하는 저색소성의 단일 반점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적 질환이다. * 황반 주변부 알비노 반점 증...)

2025년 9월 18일 (목)

  • 14:302025년 9월 18일 (목) 14:30 고트프레드슨 증후군 (역사 | 편집) [5,467 바이트] 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고트프레드슨 증후군 (Godtfredsen syndrome)'''{{신경안과}} 은 비스듬틀 (Clivus) 에 위치한 전이성 비인두암 압박에 의해 동측의 6, 12번 뇌신경의 동시 마비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으로, 1946년 Erik Godtfredsen 이 처음 명명하였다. == 기전 == 비스듬틀을 지나는 뇌신경 중 제 6번과 12번 뇌신경은 해부학적으로 내측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비스듬틀의 종양에 의해 다른 뇌신경...)

2025년 9월 6일 (토)

  • 04:042025년 9월 6일 (토) 04:04 양성 가족성 반점 망막증 (역사 | 편집) [1,455 바이트] 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양성 가족성 반점 망막증 (benign familial fleck retina, BFFR)'''{{망막}} 은 반점 망막 증후군이라는 질환군에 속한다. == 역사 == 1980년 Saibel Aish 등<ref>Sabel Aish SF et al. Benign familial fleck retina. ''BJO''. 1980 Sep;64(9):652-9. [https://pubmed.ncbi.nlm.nih.gov/7426586/ 연결]</ref>이 최초로 보고하였으며, 10명의 형제 중 7명에서 시신경 유두와 황반을 제외한 전체 망막에 반점이 있었으며, 시력에...)

2025년 8월 30일 (토)

2025년 8월 29일 (금)

2025년 8월 25일 (월)

2025년 8월 24일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