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목록
보이기
2025년 11월 17일 (월)
- 06:442025년 11월 17일 (월) 06:44 헤르페스 바이러스 과 (역사 | 편집) [534 바이트] 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헤르페스 바이러스 과 (herpesviridae family)'''{{각막}} == 종류 == * 단순포진 바이러스 1, 2형 *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 거대세포 바이러스 {{참고}})
2025년 10월 31일 (금)
- 04:582025년 10월 31일 (금) 04:58 안저 분광기 (역사 | 편집) [561 바이트] 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안저 분광기 (fundus spectrometer)''' 는 작은 망막의 영역 (2˚ 직경) 에서 기원하는 안저 자가 형광 (FAF) 신호를 분석하기 위하여 고안되었다. == 장점 == 수정체가 자가 형광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자가 형광의 절대값을 측정할 수 있고, 그 결과 안저형광이 500~800 nm 사이의 넓은 대역을 걸쳐 방출되며, 특히 중심와와 이측 7˚ 부위에서 510 nm에 최적 자극되어...)
- 03:302025년 10월 31일 (금) 03:30 라이포푸신 (역사 | 편집) [3,781 바이트] 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라이포푸신 (lipofuscin)''' == 발생 == 망막의 광수용체는 빛과 맥락막의 산소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유리기에 의해 손상받기 쉬운데, 광수용체 외절 원판이 탈락되면 망막 색소상피 (RPE) 가 이를 탐식하고 소화시키게 된 다. 이화 작용의 최종 산물은 새로운 원판을 합성하는 데 재사용되나, 광산화 손상에 의해 발생한 물질은 이화 작용에 참여하는 효소가 인식할...)
2025년 9월 19일 (금)
- 01:512025년 9월 19일 (금) 01:51 토피도 황반병증 (역사 | 편집) [6,626 바이트] 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토피도 황반병증 (Torpedo maculopathy, TM)'''{{망막}} 은 1992년 Roseman과 Gass<ref>Roseman RL et al. Solitary hypopigmented nevus of the RPE in the macula. ''Arch Ophthalmol''. 1992 Oct;110(10):1358-9. [https://pubmed.ncbi.nlm.nih.gov/1417528/ 연결]</ref>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망막 색소상피 (RPE) 에 드물게 발생하는 저색소성의 단일 반점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적 질환이다. * 황반 주변부 알비노 반점 증...)
2025년 9월 18일 (목)
- 14:302025년 9월 18일 (목) 14:30 고트프레드슨 증후군 (역사 | 편집) [5,467 바이트] 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고트프레드슨 증후군 (Godtfredsen syndrome)'''{{신경안과}} 은 비스듬틀 (Clivus) 에 위치한 전이성 비인두암 압박에 의해 동측의 6, 12번 뇌신경의 동시 마비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으로, 1946년 Erik Godtfredsen 이 처음 명명하였다. == 기전 == 비스듬틀을 지나는 뇌신경 중 제 6번과 12번 뇌신경은 해부학적으로 내측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비스듬틀의 종양에 의해 다른 뇌신경...)
2025년 9월 6일 (토)
- 04:042025년 9월 6일 (토) 04:04 양성 가족성 반점 망막증 (역사 | 편집) [1,455 바이트] 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양성 가족성 반점 망막증 (benign familial fleck retina, BFFR)'''{{망막}} 은 반점 망막 증후군이라는 질환군에 속한다. == 역사 == 1980년 Saibel Aish 등<ref>Sabel Aish SF et al. Benign familial fleck retina. ''BJO''. 1980 Sep;64(9):652-9. [https://pubmed.ncbi.nlm.nih.gov/7426586/ 연결]</ref>이 최초로 보고하였으며, 10명의 형제 중 7명에서 시신경 유두와 황반을 제외한 전체 망막에 반점이 있었으며, 시력에...)
2025년 8월 30일 (토)
- 00:052025년 8월 30일 (토) 00:05 섬유주 절제술/부작용 (역사 | 편집) [4,001 바이트] 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섬유주 절제술의 부작용'''{{녹내장}} == 수술 중 == === 결막 단추 구멍 === === 출혈 === 결막편 아래쪽과 전방 내에서 출혈이 여과포의 반흔과 여과의 실패를 초래할 수가 있으므로 여과 수술에서 효과적인 지혈은 아주 중요하다. 출혈은 여과 수술 중과 후 여러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데, 결막편이 절개될 때 결막 및 상공막 혈관으로부터 출혈이 일어나기도...)
2025년 8월 29일 (금)
- 01:382025년 8월 29일 (금) 01:38 경상 돌기 (역사 | 편집) [120 바이트] 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경상 돌기 (styloid process)''' 는 머리와 목의 경계 부위에 위치한 돌출된 작은 뼈 구조이다.)
- 01:382025년 8월 29일 (금) 01:38 이글 증후군 (역사 | 편집) [2,778 바이트] 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이글 증후군 (Eagle's syndrome)'''은 경상 돌기의 비대로 인해 주변 구조물이 압박되어 나타나는 질환으로, 1937년 듀크 대학교의 Dr. W.W. Eagle이 처음으로 정의하였다<ref>Eagle WW. Elongated Styloid Processes : Report of 2 Cases. ''Arch Otolaryngol''. 1937;25(5):584–587.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4039 연결]</ref>.)
2025년 8월 25일 (월)
- 02:312025년 8월 25일 (월) 02:31 에르드하임-체스터 병 (역사 | 편집) [4,858 바이트] 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에르드하임-체스터 병 (Erdheim-Chester disease, ECD)''')
- 01:092025년 8월 25일 (월) 01:09 옥시메타졸린 (역사 | 편집) [1,167 바이트] 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옥시메타졸린 (oxymetazoline)''' 은 직접 작용하는 α-아드레날린 작용제이다. == 효과 == 일반적으로 0.05% 용액이 비강 충혈 완화제로 사용되었으며, 이전에는 눈의 충혈을 줄이기 위해 0.0025% 농도로 일반 의약품 점안액으로 사용되었다. 옥시메타졸린 HCl 0.1% 점안액 (Upneeq®, RVL Pharmaceuticals, Inc., Bridgewater, NJ, USA) 은 눈꺼풀 올림근에 긴장을 주어 눈꺼풀을 들어올리는 작...)
2025년 8월 24일 (일)
- 13:152025년 8월 24일 (일) 13:15 보존 대퇴근막 (역사 | 편집) [81 바이트] 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보존 대퇴근막 (preserved fascia lata, PFL)'''{{성형안과}} {{참고}})
- 12:572025년 8월 24일 (일) 12:57 안와 섬유모세포 (역사 | 편집) [511 바이트] 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안와 섬유모세포 (orbital fibroblast)'''{{성형안과}} == 기능 == 안구 주변 조직의 유지와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갑상샘 눈병증에서 핵심적인 자가 항원으로 작용합니다. 이 세포는 갑상샘 자극 호르몬 (TSH) 수용체를 표면에 발현하며, TSH 수용체에 댛나 자가 항체에 반응해 안와 조직의 염증, 지방화, 섬유화 및 hyaluronan 생성을 유도하여 질병의 진행에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