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토마이신 씨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3월 12일 (목) 14:10 판 (새 문서: 미토마이신 씨 (mitomycin C; MMC) 는 30년 전에 개발된 항암 항생제로 DNA 합성을 방해하고 DNA-dependent RNA 형성을 억제하여 섬유모세포 증식을 방...)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미토마이신 씨 (mitomycin C; MMC) 는 30년 전에 개발된 항암 항생제로 DNA 합성을 방해하고 DNA-dependent RNA 형성을 억제하여 섬유모세포 증식을 방해한다. 안과 영역에서는 1962년 이래 익상편 수술 후 재발의 예방 목적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녹내장 여과 수술에 여과포 형성을 오래동안 지속시킬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투여 방법은 0.1~0.5mg/ml의 용액을 적신 스폰지를 섬유주절제술을 시행하는 상공막과 결막 사이에 약 3~5분간 점적시킨 후 이를 제거하고 평형 염액으로 세척한 다음 공막편을 만든다.

효과

동물과 사람에 대한 연구에서 여과포 형성 기간과 안압 하강의 지속 기간이 길어지며 조직 소견에서 여과포 주위에 섬유모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나타나며 그 효과는 농도와 노출 시간과 관련이 있다.

적용 방법

0.1~0.5mg/ml의 용액을 적신 스폰지를 섬유주 절제술을 시행하는 상공막과 결막 사이에 약 3~5분간 점적시킨 후 이를 제거하고 평형염액으로 세척한 다음 공막편을 만든다. 그러나 사용하는 용량, 노출시간, 세척하는 평형 염액의 용량, 공막편을 만든 후 공막편 아래에 짐적하는 경우와 공막편을 만들기 전 상공막과 결막 사이 그리고 공막편 후측 결막낭에만 점적하는 방법 등의 여러가지 변형이 있다.

부작용 및 합병증

산소 공급을 잘 받는 세포에는 독성이 없으나 저산소증인 세포에서는 독성이 흔히 나타난다. 5-FU 에 비해 투여 방법이 단순하고 각막 상피에 대한 부작용이 거의 없으나 결막 봉합 누출과 여과포 파열의 합병증은 발생빈도가 높다. 아울러 익상편 수술 후 사용시에 가끔 나타나는 것처럼 공막 괴사의 위험성은 장기간의 관찰에서 고려하여야 할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