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점 망막병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흰점 망막병증 (fundus albipunctatus)[1] 은 선천적 야맹이 비진행성이며, 또한 중심와를 제외한 망막 전반에 걸쳐 수많은 작은 흰색 또는 노란색의 점들이 나타나는 질환이다[2]. 처음으로 기술한 lauber (1910)는 야맹증과 망막에 다수의 작은 흰점들이 보이는 이외에 다른 시각 이상은 나타나지 않는다고 하였다.

역학

반점은 10세 이전부터 양안 모두에서 특징적으로 관찰되고, 전세계적으로 약 100여명의 환자가 보고되었다.

유전

대부분 상염색체 열성이다[3][4].

관련된 유전자는

  • retinol dehydrogenase (RDH5) : 대부분 이 유전자의 변이로 인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어 RDH5 망막병증이라고도 불리우고, 현재까지 관련된 RDH5 유전자의 변이가 약 50여개 발견되었다. 염색체 12q13-q14 에 위치하며, 망막 색소상피에 풍부하게 발현되는 11-cis-retinol dehydrogenase를 encoding한다. 11-cis-retinol dehydrogenase는 318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32-kDa 의 막부착 효소로, 망막색소상피세포에서 11-cis-retinol에서 11-cis-retinal로 전환시키는 데 중요 역할을 하는 시회로 (visual cycle) 의 효소이다. 6,8 RDH5 gene에 변이가 나타나게 되면 이 효소의 안정성과 활성도가 매우 감소하게 되며, 광수용체세포에 11-cis-retinal의 공급이 줄어들게 된다. 6-8이렇게 줄어든 11-cis-retinal의 공급으로 인해 환자들의 암순응 지연 증상과, 암순응검사에서 원뿔세포-막대세포 굴곡점의 출현시간 지연을 보이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 gene, retinaldehyde-binding protein 1 (RLBP1)
  • retinal pigment epithelium-specific protein (RPE65)

병태 생리

11-cis retinal 생성의 장애로 retinoids가 침착되어 흰색 반점의 병변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11-cis retinal 생성의 장애는 11-cis retinol 에서 11-cis retinal 로 전환시키는 색소 상피세포 안의 11-cis-retinol dehydrogenase 효소의 유전자나 all-trans retinol에서 11-cis retinol로의 전환에 관여하는 RPE65 유전자에 돌연변이로 비롯되며 이 효소는 원뿔세포에도 작용하는 색소 상피 안의 표소이기에 원뿔세포의 기능도 함께 저하되고 흰색 반점이 OCT에서 색소 상피부터 비롯되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특히 RDH5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함께 있을 경우 광범위하고 진행하는 원뿔세포의 장애가 동반될 수도 있으며 이처럼 원뿔세포 이영양증과 동반되어 나타나는 경우는 시력과 색각 이상이 진행하며 과녁 황반병증 (bull's-eye maculopathy) 이 나타난다.

증상

소아 초기에서 보이던 망막의 반점이 비교적 영구적인 점상 반점으로 변화하며 다소의 수적 증가는 있을 수 있으나 근본적으로 비진행성이며, 대부분의 황반부는 보존되어 있어 시력, 시야 및 색각은 정상이다. 이상 증상을 인지하지 못하는 환자들도 있으며, 어두운 조명에서 시력이 낮게 측정될 수 있고, 밝은 빛에 노출된 이후 어두운 곳으로 들어갔을 때 잘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주로 호소하며, 암순응 하는 데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한다.

시신경유두나 혈관의 이상은 동반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정상적인 시력과 정상 색각을 가지며, 야맹증이 악화되지 않고, 비진행성의 질환으로 알려져 있으나, 드물지만 원뿔세포 이상증 (cone dystrophy) 이 동반된 경우와 원뿔세포의 기능 이상과 황반의 원뿔세포 밀도가 감소된 경우도 보고되었다[5].

망막에서 관찰되는 점들을 관찰해보면 모양이나 숫자가 변화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일부에서 더 뚜렷해지거나 새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고, 일부에서는 희미해지는 등 다 양하게 관찰될 수 있다[6].

임상 소견

망막의 심부에 다수의 황백색 반점이 후극부에서는 조밀하게, 주변으로 갈수록 드물게 분포한다.

검사 및 진단

  • OCT : 돔 모양 또는 고깔 모양의 고반사 병변이 색소상피의 내측에서 시작되어 망막 외층, 수용체 내외절 경계를 뚫고 바깥핵층까지 이어진다.
  • 자가형광 : 과형광을 보인다.
  • 망막 전위도 : 30분의 암순응 후 막대세포 반응 (scotopic response) 이 매우 감소된 것이 관찰되지만, 2-3시간의 충분한 암순응 후에는 거의 정상 반응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적이다.
  • 눈 전위도 : 충분한 암순응에 도달할 때까지 최고 명상승을 얻을 수 없으며 이는 막대세포와 원뿔세포 시색소 재생의 심한 연장에 기인한다.

감별 진단

  • 흰점 망막염 (retinitis punctata albescens) : 망막의 심부에 다수의 황백색 반점을 가진 유사한 질환이다. 그러나 장기간 관찰하면 정신 물리학 및 전기 생리학적으로 진행성의 퇴행성 망막 변화가 보인다. 또한 정체성이며, 시야 변화가 없고, 망막 혈관도 정상인 점으로 감별된다.

비수술적 치료

시세포에 11-cis-retinal을 공급하는 것에 생리적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므로, 선글라스를 사용하여 시세포에서의 11-cis-retinal의 필요도를 줄여주는 것이 망막의 변성을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해 볼 수 있다.

11-cis retinal 재생의 장애이므로 이를 보충해주는 치료가 필요하며 최근 연구에서 Rotenstreich 등[7]은 9명의 흰점 망막병증 환자에게 90일간 9-cis-β-carotene 을 복용시켰을 때 막대세포 회복 시간이 호전됨을 보고하기도 하였다. 9-cis retinal은 간에서 망막으로 이동되어 옵신과 결합하여 isorhodopsin을 형성하는데 이는 로돕신과 유사한 최대 흡수 파장을 가지는 시색소이다. retinoid cycle의 활동을 줄여주고 옵신의 mislocation을 줄여주는 역할도 하여 시세포를 안정화시켜 준다.

참고

  1.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
  2. Skorczyk-Werner A et al. Fundus albipunctatus: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port of a novel RDH5 gene mutation affecting the invariant tyrosine (p.Tyr175Phe). J Appl Genet. 2015 Aug;56(3):317-27. 연결
  3. Sergouniotis PI et al. Phenotypic variability in RDH5 retinopathy (Fundus Albipunctatus). Ophthalmology. 2011 Aug;118(8):1661-70. 연결
  4. Dryja TP. Molecular genetics of Oguchi disease, fundus albipunctatus, and other forms of stationary night blindness: LVII Edward Jackson Memorial Lecture. Am J Ophthalmol. 2000 Nov;130(5):547-63. 연결
  5. Niwa Y et al. Cone and rod dysfunction in fundus albipunctatus with RDH5 mutation: an electrophysiological study. IOVS. 2005 Apr;46(4):1480-5. 연결
  6. Sekiya K et al. Long-term fundus changes due to Fundus albipunctatus associated with mutations in the RDH5 gene. Arch Ophthalmol. 2003 Jul;121(7):1057-9. 연결
  7. Rotenstreich Y et al Treatment of a retinal dystrophy, fundus albipunctatus, with oral 9-cis-β-carotene. BJO. 2010 May;94(5):616-21.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