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공개 기록
보이기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0년 3월 23일 (월) 04:20 Smile 토론 기여님이 잔상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잔상 검사 (after-image test)</b> 는 두 눈에 망막 중심 오목에 자극을 주되, 동시에 주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항상 수직의 빛을 사시눈 또는...)
- 2020년 3월 22일 (일) 07:23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물점 마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눈물점 마개 (punctal plug)</b> == 효과 == 여러 연구에서 눈물점 마개의 효능이 입증되었는데, 쇼그렌/비쇼그렌 수성 눈물 부족 건성안 환...)
- 2020년 3월 22일 (일) 07:18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물점 폐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눈물점 폐쇄 (punctal occlusion)</b> 는 수성 눈물 부족 건성안 환자에서 눈물을 보존하는 유용한 방법이다. == 분류 == 가역적 폐쇄 방법 :...)
- 2020년 3월 22일 (일) 07:10 Smile 토론 기여님이 테트라사이클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건성안에서 <b>테트라사이클린 (tetracycline)</b> 은 항세균성, 항염증, 단백 분해 효소 억제 효과를 근거로 사용된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 2020년 3월 22일 (일) 07:02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클로스포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점안 <b>시클로스포린 (cyclosporin)</b> 은 건성안 치료에 특화되어 미국 FDA의 승인을 받은 유일한 치료 약물이다. 건성안의 항염증 치료를...)
- 2020년 3월 22일 (일) 06:51 Smile 토론 기여님이 자가 혈청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정상 눈물에는 활성 단백과 다양한 성장 인자가 존재하는데, </b>자가 혈청 (autologous serum; AS)</b> 내에도 눈물과 유사한 성분들이 다량 함유...)
- 2020년 3월 22일 (일) 06:46 Smile 토론 기여님이 건성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건성안 (안구 건조증; dry eye, keratoconjunctivitis sicca; KCS)</b> 은 가장 흔한 안과 질환 중 하나로, 수많은 연구 결과와 진단 방법 및 치료 지침...)
- 2020년 3월 21일 (토) 03:20 Smile 토론 기여님이 마클라코프 안압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마클라코프 안압계 (Maklakov tonometer)</b> 은 알고 있는 일정한 힘으로 각막을 압평하여 압평된 면적을 측정하고 안압으로 환산하는 특성이...)
- 2020년 3월 21일 (토) 03:18 Smile 토론 기여님이 공기 안압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공기 안압계 (pneumatic tonometer)</b> 의 기본 개념은 중앙부의 감각 장치가 안압을 측정하는 점이 맥케이-마그 안압계와 유사하다. 반면...)
- 2020년 3월 21일 (토) 03:17 Smile 토론 기여님이 암순응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암순응 검사 (dark adaptation test) == 검사 방법 == # 먼저 환자에게 검사법에 대해 설명한다. 완전한 암실에서 10분 동안 암순응을 시킨 후 장기...)
- 2020년 3월 21일 (토) 03:16 Smile 토론 기여님이 근접 눈모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근접 눈모음 (proximal convergence)</b> 은 대상이 가깝게 있다는 생각 자체가 눈모음을 유도하는 것으로 긴장 눈모음을 제외한 눈모음의 각도...)
- 2020년 3월 21일 (토) 03:15 Smile 토론 기여님이 동적 굴절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동적 굴절 검사 (dynamic retinoscopy)</b> == 적응증 == 두 눈의 굴절 혹은 조절 상태의 불균형이 의심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며 두눈 보기 상...)
- 2020년 3월 21일 (토) 03:14 Smile 토론 기여님이 수동 각막 곡률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수동 각막 곡률 검사 (manual keratometry) == 검사 방법 == # 암실이나 반암실에서 수동 각막 곡률계 앞에 환자를 앉히고 턱받침대와 이마 고정대...)
- 2020년 3월 21일 (토) 03:14 Smile 토론 기여님이 자동 각막 곡률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자동 각막 곡률 검사 (automated keratometry)</b> 는 각막 난시 도수 및 축을 측정함으로써 각막 모양 이상 질환의 평가, 백내장 수술 및 수술...)
- 2020년 3월 21일 (토) 03:13 Smile 토론 기여님이 각막 곡률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각막 곡률 검사 (keratometry) == 분류 == * 자동 각막 곡률 검사 * 수동 각막 곡률 검사 == 판정 == 정상적으로 각막 앞면의 굴절력은 43D이...)
- 2020년 3월 21일 (토) 03:12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부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눈부심 (glare)</b> 은 "눈 안에서 빛의 산란으로 인해 망막상의 대비 감도가 저하되는 것이다. 눈 매체에 혼탁이 있을 때에는 빛이 통과...)
- 2020년 3월 21일 (토) 03:11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부심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눈부심 검사 (glare test)</b> 는 종래의 시력 검사로 검사 불가능한 눈부심 장애의 정도를 측정하며, 백내장 환자 등의 수술 적응을 결정...)
- 2020년 3월 21일 (토) 03:10 Smile 토론 기여님이 핀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핀홀 (소공 시력; pinhole; PH) 시력 저하가 안경으로 교정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할 목적으로 사용한다. == 병태 생리 == 소공으로 초점 심도가...)
- 2020년 3월 21일 (토) 03:09 Smile 토론 기여님이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레이저 섬유주 성형술 (laser trabeculoplasty)</b> == 원인 == * 아르곤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 (argon laser trabeculoplasty) * 선택적 레이저 섬유주...)
- 2020년 3월 21일 (토) 02:18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 속 경유 섬모체 광응고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눈 속 경유 섬모체 광응고술</b> 은 무수정체 녹내장안에서는 섬모체 평면부를 절개한 후 안내 광응고기 (endophotocoagulator) 로 섬모체 광응...)
- 2020년 3월 21일 (토) 02:17 Smile 토론 기여님이 점탄 물질을 이용한 관 절개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점탄 물질을 이용한 관 절개술 (viscocanalostomy) 은 심부 공막 절제술 후 섬유주-데스메막을 통해 여과된 방수는 공막편의 치밀 봉합으로...)
- 2020년 3월 21일 (토) 02:16 Smile 토론 기여님이 심부 공막 절제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심부 공막 절제술 (deep sclerotomy) 은 여과부 섬유주의 유출 제한이 있는 환자에게서 방수 유출을 증가시키는 다른 방법으로, 술 후 방수 유...)
- 2020년 3월 21일 (토) 02:15 Smile 토론 기여님이 외부 절개 섬유주 절제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외부 절개 섬유주 절제술 (ab externo trabeculectomy)</b> 은 표층 공막편을 만들고 쉴렘관 연접부 섬유주와 쉴렘관 내벽을 절제해내는 방법이...)
- 2020년 3월 21일 (토) 02:14 Smile 토론 기여님이 수력 분층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수력 분층술 (hydrodelineation)</b> 은 Anis에 의해 처음으로 기술된 개념으로, 수정체 핵 중심부의 딱딱한 부분과 외핵을 수액을 이용하여 분...)
- 2020년 3월 21일 (토) 02:12 Smile 토론 기여님이 수력 분리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수력 분리술 (hydrodissection) 은 "수정체 외핵과 피질을 한꺼번에 수정체 낭으로부터 분리해내는 술기이다. == 방법 == # 수력 분리술은 5~5.5mm...)
- 2020년 3월 21일 (토) 02:10 Smile 토론 기여님이 공막 터널 절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공막 터널 절개 (scleral tunnel incision; STI)</b> == 방법 == # 먼저 테논낭 하 공간을 가위로 무딘 박리를 시행하고, 윤부 각막 절개 후에 결막-...)
- 2020년 3월 21일 (토) 02:09 Smile 토론 기여님이 국소 마취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국소 마취 (local anesthesia; LA)</b> == 분류 == * 점안 마취 (topical anesthesia) * 전방내 마취 (intracameral anesthesia) * 눈주위 마취 (peribulbar a...)
- 2020년 3월 21일 (토) 02:06 Smile 토론 기여님이 구후 마취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구후 마취 (retrobulbar anesthesia)</b> 는 눈뒤 마취, 근원추내 마취 로도 부르며, 안구 뒤쪽 4개 직근의 안쪽 공간인 근원추 내에 국소 마취제...)
- 2020년 3월 21일 (토) 02:05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주위 마취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눈주위 마취 (peribulbar anesthesia)</b> 에서 국소 마취제는 안와 내에 주입되지만, 근원추 밖에 위치한다. == 장점 == 구후 마취에 비해 심...)
- 2020년 3월 21일 (토) 02:04 Smile 토론 기여님이 점안 마취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점안 마취 (topical anesthesia)</b> 는 백내장 수술에 사용되는 국소 마취법의 가장 최근의 발전은 점안 마취만 사용하는 방법이 다시 대두된...)
- 2020년 3월 21일 (토) 02:03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방내 마취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전방내 마취 (intracameral anesthesia) 는 최근에 백내장 수술 시 점안 마취를 한 후 추가로 1% lidocaine을 전방내 주입하여 홍채와 모양체의 신경...)
- 2020년 3월 21일 (토) 02:02 Smile 토론 기여님이 위양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위양성 (pseudoplasticity) 은 어떤 압력 하에서 용액이 gel 상태에서 물 상태로 변하는 능력을 말하며, 점탄 물질은 전단력에 따라 점성의...)
- 2020년 3월 21일 (토) 02:02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단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전단력 (shear rate) 은 서로 다른 물질이 각자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속도이다.)
- 2020년 3월 21일 (토) 02:01 Smile 토론 기여님이 점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점성 (viscosity)</b> 은 물질의 분자량 기능의 한 부분으로 용액의 흐름에 대한 저항력을 말한다. 점탄 물질의 점성은 전단력에 상대적인...)
- 2020년 3월 21일 (토) 02:00 Smile 토론 기여님이 점탄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점탄성 (viscoelasticity)</b> 탄성은 변화한 후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려는 현상을 의미한다. 물과 같은 용액처럼 원래 모습으로 돌아가려...)
- 2020년 3월 21일 (토) 02:00 Smile 토론 기여님이 조절 인공 수정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조절 인공 수정체 (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 accommodative IOL) 는 섬모체근의 수축력이 인공수정체에 전달되어 굴절력 변화가 가능하도록 고안...)
- 2020년 3월 21일 (토) 01:59 Smile 토론 기여님이 굴절 다초점 인공 수정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굴절 다초점 인공수정체 (refractive multifocal intraocular lens; refractive mfIOL) 는 서로 다른 초점 거리를 가진 2~5개의 고리 모양 굴절면으로 이루어...)
- 2020년 3월 21일 (토) 01:58 Smile 토론 기여님이 회절 다초점 인공 수정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회절 다초점 인공 수정체 (diffractive multifocal intraocular lens; diffractive mfIOL)</b> 는 굴절성 전면과 여러 개의 미세 계단이 동심원상으로 배치...)
- 2020년 3월 21일 (토) 01:58 Smile 토론 기여님이 다초점 인공 수정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다초점 인공 수정체 (multifocal intraocular lens; mfIOL) 는 회절이나 굴절을 통해 상을 동시에 만들어 낸다. == 분류 == * 회절 다초점 인공 수정체...)
- 2020년 3월 21일 (토) 01:56 Smile 토론 기여님이 변조 전달 함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변조 전달 함수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b>)
- 2020년 3월 21일 (토) 01:55 Smile 토론 기여님이 비구면 인공 수정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비구면 인공 수정체 (aspheric intraocular lens; aspheric IOL)</b> 최근에는 인공수정체의 비구면 설계를 통해 구면 수차를 감소시켜 시기능을 개...)
- 2020년 3월 21일 (토) 01:53 Smile 토론 기여님이 선천 백내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선천 백내장 (congenital cataract)</b> == 역학 == 태어나면서 또는 출생 직후에 양안에서 발생된다. == 원인 == 태내 감염, 선천성 대사 장애, 염...)
- 2020년 3월 21일 (토) 01:52 Smile 토론 기여님이 앤더슨-케스텐바움 수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앤더슨-케스텐바움 수술 (Anderson-Kestenbaum surgery) 은 영아 눈떨림에서 머리 돌림이 있을 때, 정지 구역이 정면으로 오게 하는 수술이다. ==...)
- 2020년 3월 21일 (토) 01:51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중 초점 렌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이중 초점 렌즈 (bifocal lens) == 적응증 == 원거리보다 근거리에서 10PD 이상 내사시를 보이는 눈모음 과다형 내사시에서는 렌즈차 이용법으로...)
- 2020년 3월 21일 (토) 01:50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진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안진전 (opsoclonus)</b> 은 saccadomania, 안진전-간대성 근경련, opsoclonus-myoclonus, 춤추는 눈과 춤추는 발, dancing 등 다양하게 불리며, "여러 방향...)
- 2020년 3월 21일 (토) 01:49 Smile 토론 기여님이 자발적 신속 운동성 떨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자발적 신속 운동성 떨림 (voluntary saccadic oscillation)</b> 은 갑작스런 동향성 신속 운동이 신속 운동 간 간격 없이 일어나는 것이다. 자발적...)
- 2020년 3월 21일 (토) 01:47 Smile 토론 기여님이 연접 후 선천 근무력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연접 후 선천 근무력 증후군 (postsynaptic congenital myasthenic syndrome; postsynaptic CMS) == 유전 == 상염색체 열성 유전을 한다. == 원인 == 선천적인 acet...)
- 2020년 3월 21일 (토) 01:46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와 내용 제거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와 내용 제거술 (exenteration) 은 환자의 생명을 보존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없을 때 고려해야 하는 수술로 안와골막에 둘러싸여 있는 안...)
- 2020년 3월 21일 (토) 01:45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와 상벽 골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안와 상벽 골절 (superior orbital wall fracture)</b> == 역학 == 얼굴에 발생하는 골절의 1~5% 정도로 성인에서는 드문 편이다. 그 이유는 안와 상벽...)
- 2020년 3월 21일 (토) 01:44 Smile 토론 기여님이 광대-위턱뼈 복합 골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광대-위턱뼈 복합 골절 (zygomaticomaxillary complex fracture; ZMC fracture) 안와 외벽 골절은 흔히 광대뼈, 위턱뼈, 나비뼈, 관자뼈를 포함하여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