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발 후천 코눈물관 폐쇄
원발 후천 코눈물관 폐쇄 (primary acquired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PANDO)[1]
역학
폐경 전후의 여성에서 잘 발생한다[2]. 이는 나이에 따른 자가면역 질환의 증가, 여성호르몬 변화에 따른 염증 증가 등으로 인한 반복적인 만성 염증과 섬유화 등으로 눈물길 내경이 좁아져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관련 질환
- 폐쇄성 마이봄샘 기능 장애 (MGD) : PANDO로 인해 눈물 흐름이 느려지고 염증성 매개 물질의 농도가 증가하면 안구 표면 염증이 심해지고[4][5], 이로 인해 안구 건조증, 특히 MGD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6].
참고
- ↑ 성형안과학 제 4판, 2022 (대한 성형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
- ↑ Ali MJ et al. Etiopathogenesis of PANDO : What We Know and What We Need to Know. Ophthalmic Plast Reconstr Surg. 2019 Sep/Oct;35(5):426-433. 연결
- ↑ Ali MJ. Etiopathogenesis of PANDO. Prog Retin Eye Res. 2023 Sep;96:101193. 연결
- ↑ Ali MJ et al. Alteration of Tear Cytokine Expressions in PANDO - Potential Insights into the Etiopathogenesis. Curr Eye Res. 2020 Apr;45(4):435-439. 연결
- ↑ Woo SE et al. MMP-9 Point-of-Care Immunoassay after DCR in Patients w NLDO. Semin Ophthalmol. 2021 Apr 3;36(3):128-131. 연결
- ↑ Jin H et al. Changes in the MG in postmenopausal women w PANDO : a prospective study. BMC Ophthalmol. 2023 Feb 1;23(1):48.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