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주 절제술/부작용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5년 8월 30일 (토) 00:05 판 (새 문서: '''섬유주 절제술의 부작용'''{{녹내장}} == 수술 중 == === 결막 단추 구멍 === === 출혈 === 결막편 아래쪽과 전방 내에서 출혈이 여과포의 반흔과 여과의 실패를 초래할 수가 있으므로 여과 수술에서 효과적인 지혈은 아주 중요하다. 출혈은 여과 수술 중과 후 여러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데, 결막편이 절개될 때 결막 및 상공막 혈관으로부터 출혈이 일어나기도...)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섬유주 절제술의 부작용[1]

수술 중

결막 단추 구멍

출혈

결막편 아래쪽과 전방 내에서 출혈이 여과포의 반흔과 여과의 실패를 초래할 수가 있으므로 여과 수술에서 효과적인 지혈은 아주 중요하다. 출혈은 여과 수술 중과 후 여러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데, 결막편이 절개될 때 결막 및 상공막 혈관으로부터 출혈이 일어나기도 하고, 섬유주 절제술 시 공막편이 12시 방향에 가깝게 박리된다면 앞섬모체 혈관으로부터 출혈이 일어난다. 공막 절개 시 공막 돌기보다 뒤쪽으로 절개하면 대홍채 동맥륜이 손상되어 출혈이 일어난다. 또한 홍채 절제술을 할 때 본의 아니게 섬모체 돌기가 절제되어 출혈이 일어날 수 있다.

공막절개부 내부에서 출혈의 기시부가 보인다면 단극 수하 열치료가 지혈에 도움을 준다. 만일 출혈의 기시부가 보이지 않는다면 에피네프린 (1:1,000) 한두 방울을 공막 절개부 위에 떨어뜨린다. 전방 출혈이 수술 중에 발생하면 평형 염액을 주입하여 공막 절개부를 통하여 세척한다.

매우 드물게 맥락막내 또는 맥락막 상강의 출혈 또는 죽출성 출혈이 수술 중에 나타날 수가 있다. 안압의 갑작스러운 감소로 인한 큰 맥락막혈관의 파열과 관련된다. 맥락막 내 또는 맥락막 상강의 출혈은 특히 저안압이 있는 무수정체안 그리고 고도근시안에서 수술 후 초기에 나타나기도 한다. 갑자기 심한 안통이 있는 것이 특징 이다.

참고

  1. 녹내장 개정 7판, 2023 (한국 녹내장 학회, 최신 의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