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모체-맥락막 삼출 증후군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2월 18일 (금) 13:41 판 (→‎치료)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섬모체-맥락막 삼출물 증후군 (ciliochoroidal effusion syndrome)[1]

병인[2]

현재 설폰아마이드 계열 약물이 근시를 유발하는 기전은 아직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2001년 Sen 등[3]은 약물이 수정체의 삼투압 상태에 변화를 일으켜 수정체 부종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폐쇄각 녹내장과 근시가 발생한다고 하였고, Bovino, Marcus는 항생제인 설파메톡사졸-트리메토프림을 복용한 환자에서 섬모체의 부종이 발생하며 섬모체소대의 이완을 유발하여 수정체의 표면곡률이 증가하였고 이로 인해 전방이 얕아지면서 근시가 발생한다고 설명하였다. Postel 등은 설폰아마이드에서 파생된 토피라메이트를 복용한 환자에서 초음파 생체 현미경을 통해 섬모체-맥락막 삼출물과 수정체-홍채 격막의 전방이동을 확인하였고 이로 인해 전방이 얕아져 폐쇄각에 의한 안압 상승 및 근시를 확인하기도 하였다. Ikeda 등은은 이러한 기전을 통틀어 섬모체 맥락막 삼출 증후군이라 부르며 섬모체-맥락막 삼출물이 섬모체 종창을 유발하여 위와 같은 일련의 과정들이 동시에 발생하여 폐쇄각 녹내장과 근시를 유발한다고 정리하였다.

원인

증상

환자들은 대개 급격한 시력 저하를 주소로 내원하게 되며, 시력 저하, 안압 상승, 급성 근시, 눈떨림, 폐쇄각, 얕은 앞방 등이 관찰되며, 눈꺼풀 연축, 상맥락막 삼출, 눈알주위 부종 및 동통, 공막염, 복시, 안구진탕 등을 보일 수도 있다[4]. 증상은 빠르면 당일, 늦어도 한 달 이내에 시작하였다.

치료

약물 처방을 한 의료인과 상의 하에 바르게 중단하거나, 대체 약물을 찾아 투약을 변경하여야 한다. 폐쇄각으로 인해 녹내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안압을 조절하기 위해서 추가적으로

  • 조절 마비제 : 섬모체근 이완을 유발시켜 섬모체 소대를 팽팽하게 하고 수정체 두께의 감소 및 수정체-홍채 격막의 후방 이동을 유발하여 전방 깊이를 증가시켜준다.
  • 베타 차단제, 안압을 낮추는 경구약
  • 스테로이드 : 전방 염증이 발생하였을 경우 스테로이드를 점안하여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으며, 맥락막 상강의 염증을 줄여주는 데 도움이 된다[5].

일반적으로 폐쇄각 녹내장의 치료에 흔히 쓰이는 필로카르핀은 축동제에 의한 수정체 전방 이동, 모양체 수축에 의해 폐쇄가 악화될 수 있으며[6][7], 레이저 홍채 절개술은 동공 차단에 의한 녹내장이 아니므로 효과가 없다.

참고

  1. 녹내장 개정 7판, 2023 (한국 녹내장 학회, 최신 의학사)
  2. Acute Myopic Shift and Change in ACD after Intake of Zonisamide, KJO 2020 연결
  3. Sen HA et al. Case reports and small case series : topiramate-induced acute myopia and retinal striae. Arch Ophthalmol. 2001 May;119(5):775-7. 연결
  4. Fraunfelder FW et al. Topiramate-associated acute, bilateral, secondary ACG. Ophthalmology. 2004 Jan;111(1):109-11. 연결
  5. 전찬 외, Topiramate에 의한 급성 폐쇄각 녹내장. JKOS 2005;46:1944-50
  6. Abramson DH et al. Pilocarpine : effect on the AC and lens thickness. Arch Ophthalmol. 1972 Jun;87(6):615-20. 연결
  7. Mapstone R. Acute shallowing of the AC. BJO. 1981 Jul;65(7):446-51. 연결